[착한 기업, 착한 경영] 삼성, 삼성전자가 키운 '글로벌 强小 협력사'…영업이익률 '청출어람'

입력 2013-04-01 15:30  

삼성전기, 공동 기술개발…7년간 매출 2.4배 늘 때…협력사 매출은 3.1배 증가


반도체 장비업체인 유진테크. 코스닥 상장 기업으로 지난 5년간 매출 규모를 17배 이상 키웠다. 2008년 95억원에 불과했던 매출이 지난해 1636억원으로 증가했다. 2007년 삼성전자와 거래를 튼 뒤 납품 물량이 확 늘어난 덕분이다. 작년엔 536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130명 직원이 한 명당 연간 4억원 이상을 번 셈이다. 영업이익률로 환산하면 삼성전자의 갑절 이상인 31.8%다.

반도체 장비와 소재를 만드는 솔브레인(17.2%)과 이오테크닉스(15.5%)의 영업이익률도 상당한 수준이다. SFA와 ENF테크놀로지 등도 지난해 10%가 넘는 영업이익률을 올렸다.

이들은 삼성전자가 육성해온 ‘글로벌 강소기업’들이다. 삼성전자는 1000여개 협력업체 중 2011년 8월 39곳을 후보로 정한 뒤 자금과 인력, 기술 등을 지원해 왔으며 지난달 기술력과 시장 지배력, 제조 역량 등을 3단계로 평가해 14개사를 선정했다. 이들을 2015년까지 국내시장 점유율 2위 이내, 세계시장 점유율 5위 이내로 키우겠다는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최근 몇 년 새 협력사와 상생하는 자세가 달라졌다는 평가를 듣는다. 유장희 동반성장위원장이 최근 열린 삼성전자 동반성장데이 행사에 직접 참석해 “삼성전자는 ‘해외 유명 경쟁사’와 달리 이면계약, 납품단가 후려치기 등 협력사를 괴롭히지 않고 돈독한 관계를 유지해 소비자를 우선으로 하는 제품을 만들 수 있었다”고 얘기할 정도다.

이건희 삼성 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협력사의 경쟁력을 키워 성장을 지원하고 지식과 노하우를 중소기업과 나눠 국가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협력사가 발전해야 삼성의 경쟁력이 높아진다는 것은 이 회장의 1987년 회장 취임 이후 계속 강조해온 지론이다.

삼성 계열사 중 맏형인 삼성전자는 이 회장의 경영 철학을 가장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기업이다. 최병석 삼성전자 상생협력센터장(부사장)은 “정부 눈치를 봐서 중소기업을 돕겠다고 한 게 아니다”며 “협력사가 강소기업이 돼 좋은 제품을 만들면 삼성 제품이 경쟁력을 갖게 된다”고 설명했다. 최 센터장은 “그것이 바로 삼성전자 동반성장의 업의 개념”이라고 강조했다.

강소기업 프로그램 외에도 ‘혁신기술 기업 협의회(혁기회)’가 대표적이다. 기술과 역량을 가진 중소기업을 발굴하기 위해 2010년 만든 제도다. 삼성전자는 혁기회에 참여한 회원사에 기술개발 자금 지원, 공동 개발 과제 추진, 신제품 개발 참여 등의 기회를 준다. 1~3기 혁기회에는 47개사가 참여, 신기술 개발과 판매를 통해 530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4기 혁기회엔 테일러테크놀로지 등 25개사가 참여한다.

지난해 도입한 ‘신기술개방공모제’의 경우 삼성전자가 1000억원을 내놓고 기술력이 있는 중소기업에 투자하는 제도다. 삼성과 기존에 거래가 없어도 기술이 있으면 지원해준다. 실패해도 상관이 없다. 좋은 부품이 개발되면 거래를 시작하는 식이다.

1, 2, 3차 협력사를 대상으로 자금 조달을 지원하기 위해 기업은행, 산업은행, 우리은행과 함께 1조원 규모 상생펀드도 만들었다. 삼성전자가 4000억원을 냈다. 협력업체들은 누구나 시중금리보다 1.4~1.6%포인트 낮은 금리에 돈을 쓸 수 있다. 지금까지 660개 업체가 누계로 1조3000억원가량의 대출을 받아 썼다.

또 협력사들의 어려운 인력 사정을 감안해 협력사 채용박람회를 작년부터 시작했고, 협력사가 채용한 660명의 신입사원에게는 삼성그룹 신입사원에 준하는 신입사원 교육(3박4일)도 시켜줬다.

삼성전기도 동반성장에 앞장서고 있다. 2006년부터 작년까지 삼성전기 매출이 2.4배 증가하는 동안 협력사 평균 매출은 3.1배로 증가할 정도다. 협력사 지원을 위해 기존 500억원의 상생펀드에 올초 125억원을 추가, 총 625억원을 조성했다.

삼성전기의 대표적인 동반성장 사업은 공동 기술 개발이다. 지난해 협력사와 총 103건의 기술을 개발해 1347억원의 국산화 효과를 거뒀던 삼성전기는 올 1월 ‘동반성장 기술개발 전시회’를 통해 국산화가 시급한 신기술·신제품 50개 품목에 대해 협력사에 공동 개발을 제안했다. 이들 50건의 품목이 모두 국산화되면 1652억원의 수입대체 효과가 예상된다.

최치준 삼성전기 사장은 “삼성전기가 보유한 기술, 제조, 품질 노하우가 1, 2차 협력사의 경쟁력으로 이어지도록 다양한 소통 활동을 펼쳐나가겠다”고 말했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

▶급등주 자동 검색기 등장...열광하는 개미들
▶[한경 스타워즈] 대회 한 달만에 전체 수익 1억원 돌파! 비결은?


▶ "대마도는 한국땅" 日 뜨끔할 근거 들어보니

▶ 박시후 고소한 A양, 연예인 지망생 이라더니…

▶ MC몽, 안보여서 `자숙`하는줄 알았는데 '깜짝'

▶ 日 재벌 회장 "김연아 '우승' 사실은…"

▶ '짝' 출연 女연예인, 하루에 받는 돈이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