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hankyung.com/photo/201304/2013040752621_AA.7321933.1.jpg)
3월 고용지표가 미 경제에 비상벨을 울리고 있다. 비농업 부문의 신규 고용(8만8000명)은 2월(26만8000명)의 3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9개월 만에 최저치다. 실업률은 7.6%로 전월보다 0.1%포인트 낮아졌지만 ‘착시 효과’였다. 장기간 직장을 찾지 못해 구직전선에서 이탈한 사람과 베이비부머의 은퇴가 맞물리면서 경제활동인구(취업자+실업자)가 49만명 감소한 탓이다.
그 결과 경제활동 참가율은 0.2%포인트 떨어져 1979년 이후 34년 만에 최저치다. 비농업 부문의 시간당 임금도 23.82달러로 정체됐다. 그동안 미국 경제 회복을 이끌었던 소비 지출이 둔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자 주가는 급락하고 채권가격은 뛰었다. 1, 2월 예상 밖 호조를 보였던 고용시장에 빨간불이 켜진 데는 두 가지 배경이 작용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올해 초에 단행된 세금 인상(부자증세, 급여세 인상)과 3월 초 발동된 연방정부의 예산 자동삭감(시퀘스터) 조치다.
앨런 크루거 백악관 경제자문위원장(프린스턴대 교수)은 “시퀘스터 발동 전까지 경제가 순항했지만 불필요한 정부 예산삭감이 노동시장을 악화시키고 있다”며 “시퀘스터가 앞으로 몇 달간 경제에 역풍을 몰고 올 것”이라고 우려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 중앙은행(Fed) 안팎에서 제기되고 있는 양적완화의 속도 조절론이 꼬리를 내릴 것이라고 보도했다. 윌리엄 더들리 뉴욕 연방은행 총재, 존 윌리엄스 샌프란시스코 연방은행 총재 등 일부 Fed 이사진들은 최근 “고용시장이 좀 더 개선되면 Fed가 채권매입 규모를 줄여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물론 3월 한 달간의 고용지표에 과민반응할 필요가 없다는 반론도 있다. 3월 초 연방정부 폐쇄 위기를 몰고온 정치권 대립과 예년보다 추운 봄 날씨 등이 고용시장을 일시적으로 얼어붙게 했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문제는 3월 고용지표 악화가 정치권의 대립을 더욱 촉발해 기업의 투자심리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오는 10일 메디케어(노인층 의료보험) 사회보장연금 등 복지예산 축소와 부유층 세제혜택 축소를 골자로 하는 2014회계연도 예산안을 제출할 예정이다.
워싱턴=장진모 특파원 jang@hankyung.com
▶ 임창정 "아내한테 무릎 꿇고 빌어" 폭탄 발언
▶ '외출하고 돌아온 아내의 속옷 검사를…' 경악
▶ "아이돌 女가수 성접대 가격은…" 폭탄 고백
▶ 배우 김형자 "곗돈 20억 사기 친 가수는…"
▶ 박시후 고소한 A양, 연예인 지망생 이라더니…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