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46.30
(23.97
0.95%)
코스닥
729.69
(3.61
0.50%)
  • 비트코인

    135,828,000(0.1%)

  • 이더리움

    2,594,000(-0.04%)

  • 리플

    3,278(1.61%)

  • 비트코인 캐시

    502,500(-0.9%)

  • 이오스

    961(-0.52%)

  • 비트코인 골드

    1,313(-763.82%)

  • 퀀텀

    3,166(-0.76%)

  • 이더리움 클래식

    24,170(-0.37%)

  • 비트코인

    135,828,000(0.1%)

버튼
가상화폐 시세 관련기사 보기
  • 비트코인

    135,828,000(0.1%)

  • 이더리움

    2,594,000(-0.04%)

  • 리플

    3,278(1.61%)

  • 비트코인 캐시

    502,500(-0.9%)

  • 이오스

    961(-0.52%)

  • 비트코인 골드

    1,313(-763.82%)

  • 퀀텀

    3,166(-0.76%)

  • 이더리움 클래식

    24,170(-0.37%)

정보제공 : 빗썸 닫기

인간과 눈높이 맞춘 '트루 스마트'

입력 2013-04-15 15:29  

기고 - 하지현 <건국대병원 신경정신과 교수>



현대사회에서 소통은 큰 딜레마다. 소통의 방법은 지난 세기에 비해 혁명적으로 늘어났다. 벨이 전화기를 발명한 지 100여년 만에 스마트폰이 탄생했고, 인터넷은 세계를 하나로 묶었다. 오늘도 많은 사람들과 만나고 문자 메시지, 통화를 한다. 횟수는 늘고 방법은 많아졌지만 이상하게도 ‘외롭다’고 하는 사람은 더 많아졌다. 정서적 허기가 채워지지 않는 ‘헛헛함’ 때문이다.
이런 ‘외로움’에는 기술에만 의존해 사람들과 소통해야 할지 모른다는 불안도 한몫한다. 혁신적 기능을 담은 기기라 해도 받아들일 준비가 안 돼 있을 땐 경계의 눈초리를 보내는 것이 인간의 본능이다. 최근 정보기술(IT) 업계의 빠른 변화와 이를 따라가지 않으면 도태될지도 모른다는 강박은 이런 불안을 더 조장한다.

‘스마트폰’은 일반 휴대폰에 비해 훨씬 ‘똑똑하다’고 주장하며 많은 기능을 담고 있다. 하지만 실제 모든 기능을 잘 활용하는 사람은 적다. 새 기종이 나왔다고 하면 불안해지는 사람도 있다. 그래서 사람들 마음 한구석에는 ‘기계만 스마트하고, 사용자는 바보가 된 것 같다’는 자괴감도 있다.

기술이 인간과 눈높이를 맞추기 위해서는 ‘일방적’이어선 안 된다. 과거엔 ‘새로운 것이 나왔으니 이것을 빨리 받아들이고 사용하지 않으면 뒤처질 것’이라는 메시지가 업계에 난무했다. 소비자들이 열심히 배우고 나면 그새 또 새로운 것이 나왔다. 하지만 좋은 서비스는 대중보다 반 발자국 앞서가는 정도가 딱 좋다.

또한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쓰기에 어렵고 사용 빈도도 낮은 기능 대신 손쉽게 익힐 수 있는 직관적인 기능을 탑재할 필요가 있다. IT 기기에 대한 ‘진입 장벽’을 과감히 낮춰야 한다. 더불어 사용자가 기계에 ‘딸려간다’는 감정이 들어선 안 된다. 나와 교감하는 ‘편한 도구’를 가지고 있다는 감정이 먼저여야 한다. .

한편 사용자들도 ‘모든 기능을 다 사용해 본전을 뽑겠다’는 강박적인 불안에서 벗어나야 한다. 내게 필요한 기능을 잘 배치하고 그 부분을 유용하게 쓰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행히 최근 스마트폰 발달의 추세는 이런 면을 반영하고 있다. 일례로 삼성전자의 ‘갤럭시S4’는 인간의 얼굴을 인식해 동영상 재생을 컨트롤하거나 손동작을 인식해 화면을 전환하는 등 자연스럽게 인간의 오감과 교감한다. 주변 환경의 온도와 습도를 자동으로 파악하고 건강을 관리하도록 도우며 마치 삶의 동반자 같은 사용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 빠르고 더 많은 기능을 담기만 하는 것에서 진정으로 사용자와의 교감을 중시하는 것이 필요한 시기다. 이를 통해 기술에 대한 경계와 불안을 줄이고 사용자가 주도권을 갖고 기술을 이용하면서 현대인이 관계의 공허와 외로움을 해소할 길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혁신은 한번에 오지 않는다. 새로운 기능의 제공과 대중의 반응과 선택이 반복되면서 차곡차곡 쌓여나가며 일어난다.


그런 면에서 스마트폰의 발전은 기계만 ‘스마트’해지는 것이 아닌, 우리의 생활과 관계의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데 도움을 주는 방향으로 갔으면 한다. 그것이 인간과 눈높이를 맞춘 ‘트루 스마트’를 위한 길이다.

하지현 <건국대병원 신경정신과 교수>


NHN, 웹툰에도 PPL적용…창작자 수익 극대화
▶ SK플래닛, 디지털 콘텐츠·뉴 커머스를 핵심축으로…美·中·터키 등 글로벌 시장 공략도 '시동'
▶ 다음·SK컴즈의 모바일 전략은…다음 "사내 벤처 활성화" SK "싸이월드의 부활"
▶ 내 폰 초기화면, 입맛대로 바꾼다…'런처'로 자유자재 설정
▶ 카카오페이지, 콘텐츠 가격 500원부터…카친들과 공유가능한 것 장점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

랭킹뉴스 더보기

가상화폐 시세 기사 보기 +

    • 비트코인

      135,828,000(0.10%)

    • 이더리움

      2,594,000(-0.04%)

    • 리플

      3,278(1.61%)

    • 비트코인 캐시

      502,500(-0.90%)

    • 이오스

      961(-0.52%)

    • 비트코인 골드

      1,313(-763.82%)

정보제공 : 빗썸

온라인에서 만나는 '한경TV LIVE'
  • 한국경제TV 24시간 LIVE
  • 굿모닝 작전 인텔·알파벳 1Q 실적발표... 상반된 결과 나왔다
  • 오늘장 뭐사지? 韓 ,1분기 GDP 역성장! 증시 향방은?
  • 주식 콘서트 - 변동성 장세 단기 핵심 유망주 大공개! | 이동근
  • 와우글로벌 Oh My God [LIVE] 中, 美반도체 125% 관세 철회 | 알파벳 ‘깜짝 실적’에 월가 투자의견 일제히 상향 | 애플, 美 판매 아이폰 전부 인도에서 생산 | Oh My Godㅣ04/25

한국경제TV

24시간 LIVE 채팅참여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
광고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