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세 정년연장 제도화
지난 23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는 법안심사 소위를 열어 ‘정년 60세 연장법’(고용상 연령차별 금지 및 고령자 고용촉진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여야 합의로 통과시켰다. 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공공·민간 부문 근로자의 정년 60세 의무화 조치가 2016년부터 사업장 규모에 따라 단계적으로 시행된다. 또한 정년을 연장하는 사업장은 ‘임금피크제’ 같은 임금 조정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개정안에는 ‘사업주는 근로자의 정년을 60세 이상으로 정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어 정년 60세를 의무 조항으로 규정했다. 현행법에는 정년 60세가 권고 조항으로만 돼 있어 강제력이 없었다.
또한 사업주가 정년을 60세 미만으로 정한다고 하더라도 정년을 60세로 본다는 내용을 포함시킴으로써 사업주가 근로자를 60세 이전에 내보낼 경우 부당해고로 간주해 처벌하는 벌칙 조항도 마련했다.
정년연장에 대한 반응은 엇갈린다. 재계는 강하게 반발하는 반면 노동계는 환영하는 분위기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와 전국경제인연합회 등 경제단체들은 가뜩이나 경기 상황이 좋지 않은데 정년 60세 연장이 의무화되면 인건비 등 부담이 커질 것이라고 우려한다.
노동계는 이번 법안 통과를 크게 반긴다. 민주노총은 공식 논평을 통해 “일하는 사람은 줄어들고 부양해야 할 고령자가 급속도로 늘어나는 상황에서는 정년연장이 효과적인 대처법”이라고 밝혔다. 다만 노동계는 “장년층의 생활여건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이유를 들어 정년연장이 임금피크제와 연계되는 것에 대해선 반대한다는 입장이다.
![](http://www.hankyung.com/photo/201304/2013042600601_AA.7398774.1.jpg)
#父子간 일자리 전쟁 터지나
경제계는 정년 연장 의무화가 세대 간 일자리 전쟁의 신호탄이 될 것이라고 우려한다. ‘청년 구직자 대 고령 근로자’ ‘아버지 대 아들’의 일자리 전쟁이 현실화될 것이란 얘기다. 고용노동부와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2011년 기준 50~59세 근로자는 126만6579명이다. 작년 기준 국내 기업의 평균 정년이 58.4세인 점을 감안하면 이들 중 55세 이상이 3년 내 정년을 맞는다. 그런데 60세 정년 연장이 의무화되면 58~59세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일자리를 유지하게 된다. 공기업 사례가 대표적이다. 만 59세 정년인 한국가스공사의 경우 정년 연장으로 2016년 62명, 2017년 66명이 혜택을 본다.
문제는 원래 비어야 할 일자리가 정년 연장으로 유지되면 그 피해가 고스란히 청년층에 미친다는 점이다. 지난달 기준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369만명이다. 청년 실업자는 148만명에 달한다. 저출산으로 청년층 인구가 감소한다고는 하지만 3~5년간은 청년 취업자와 실업자가 이 정도 수준을 유지할 것이란 게 중론이다. 정년 연장이 의무화될 경우 청년 취업자 수는 줄어들고 실업자는 급증할 수밖에 없다는 게 경제계의 판단이다.
#임금피크제 합의가 관건
![](http://www.hankyung.com/photo/201304/2013042600601_AA.7398776.1.jpg)
하지만 기업들의 ‘정년 연장 쇼크’를 완화할 대안으로 제기된 임금피크제가 만병통치약이 되기는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노조 입김이 강한 사업장에선 임금피크제 없이 정년 연장만 관철할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에서다. 앞서 임금피크제 규정을 도입한 기업에서조차 이 제도를 제대로 활용하는 비율이 낮아 임금피크제가 정착되려면 진통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손정희 한국경제신문 연구원 jhson@hankyung.com
--------------------------------------------------------------------------------
한 살 때문에 퇴직 6년 차이 날수도…
60세 정년연장법안에 따라 300명 이상 사업장은 2016년부터, 300명 이하 사업장은 2017년부터 정년 60세 이상이 의무화된다. 이는 노사 합의를 통해 최소한 정해진 시기까지 정년을 60세 이상으로 설정하라는 가이드라인을 정한 것이다. 도입 시기는 사업장 사정에 맞춰 정하되 가이드라인 연도를 넘겨서는 안 된다. 하지만 시행 연한에 따라 정년을 연장하게 되는 경우 부작용이 우려된다.
![](http://www.hankyung.com/photo/201304/2013042600601_AA.7398778.1.jpg)
고용부가 가이드라인 연도 이전에 노사 합의로 60세 정년연장제도를 도입하라고 권장하는 데는 이런 이유가 있다. 또한 직종별 차이가 감안되지 않은 점 또한 우려를 낳고 있다. 실제 법안 적용 과정에서는 생산직·기술직의 정년 연장이 수월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차가 오래될수록 숙련도가 높아져 사용자 측에서 부담을 적게 느끼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무직 업종에서는 부작용이 비교적 클 수 있다. 오래 일할수록 생산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고 직급에 따른 인사적체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 임창정 "아내한테 무릎 꿇고 빌어" 폭탄 발언
▶ '외출하고 돌아온 아내의 속옷 검사를…' 경악
▶ "아이돌 女가수 성접대 가격은…" 폭탄 고백
▶ 배우 김형자 "곗돈 20억 사기 친 가수는…"
▶ 박시후 고소한 A양, 연예인 지망생 이라더니…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