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병원 은행연합회 회장(국민행복기금 이사장)이 정부의 우리금융지주 지분 매각에 대해 비판적인 의견을 내놨다.
그는 4일 아시아개발은행(ADB) 총회 참석차 인도 뉴델리를 찾아 기자간담회를 열고 “(우리금융지주 매각으로) 공적자금 회수를 극대화해야 하지만 당국이 세계적인 금융회사의 입찰에 불이익을 주는 등 손님을 다 내쫓았다”며 “흥행이 되지 않는 상황을 만들어 놓고 흥행을 바라니 답답하다”고 말했다.
박 회장은 “싱가포르 국부펀드인 테마섹을 비금융주력자로 판단하고, HSBC도 금융주력자인지 확인하겠다며 산더미 같은 서류를 내놓으라 하니 살 사람이 있겠느냐”고 꼬집었다. 현재 금융지주회사법에 따르면 금융당국이 ‘비금융주력자’로 판단할 경우 국내 금융지주사에 대한 주식보유 비율과 의결권을 제한할 수 있다. 박 회장은 싸게라도 팔면 누군가 사겠지만 헐값 매각 논란이 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회장은 “값을 묻지 않고 팔겠다면 누군가는 사겠지만, 헐값매각 논란에 틀림없이 누군가 구치소에 가고 감사원에 불려갈 것”이라고 우려했다.
은행권에 부는 이른바 ‘창조금융’ 바람에도 쓴소리를 했다. 박 회장은 “금융이 다른 분야에 비해 아직 낙후돼 있다”며 “창조금융이 아니라 다른 나라의 수준을 따라잡는 것이 더 급하다”는 설명이다. 창조금융을 창의적인 경영전략이 가미된 금융기법이라고 해석한 것.
박 회장은 “조선·휴대폰은 모방할 것이 없어 창조경제가 필요하지만, 금융은 아직 모방도 다 못 끝냈다”고 진단했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
▶[속보] 급등주 자동 검색기 '정식 버전' 드디어 배포 시작
▶[한경 스타워즈] 대회 전체 수익 2억원에 달해.. 비결은?
▶ "한국女 강간해도 괜찮다" 日 동영상 충격
▶ 이건희 회장, 두 딸과 함께 미국행…왜?
▶ 장윤정 '10년 수입' 탕진한 사업 뭔가 봤더니
▶ 가수 김혜연, 뇌종양 발견되자 유서를…충격
▶ 한국女 '글래머' 비율 봤더니…이럴 줄은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