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hankyung.com/photo/201305/2013050787041_01.7431572.1.jpg)
지금 일선 세무서들은 지하경제 양성화 방침에 따라 조사인력을 대폭 늘리는 등 탈세와의 전쟁을 치르고 있다. 정부는 각종 조세 감면 축소로 세수 확보에 팔을 걷고 나섰다. 국회에서는 또 대기업의 고용창출투자세액공제 범위를 축소하는 등 사실상의 증세 법안이 속속 통과되고 있다. 상황이 이런데도 세수가 늘기는커녕 오히려 줄어들고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 심각한 것은 각종 복지 예산으로 올해만도 103조원이 소요되는 등 재정수요가 폭발하는 상황이다. 그런데 아뿔싸! 세수는 거꾸로 줄고 있다.
하기야 세금이 잘 걷힌다면 그게 더 이상하다. 세금이란 경제가 잘 돌아가면 저절로 잘 걷힌다. 반대라면 아무리 이 잡듯 해도 좀체 늘지 않는 법이다. 노력세수가 세수총액의 3%를 못 넘는다는 것도 다 그래서다. 실제 지난 10년간 세수를 보면 경제성장률이 5%를 넘었던 2006, 2007, 2010년에는 실제 세수가 예산 편성 시의 세수 추계치를 모두 웃돌았다. 반면 신용카드 대란(2003년), 글로벌 금융위기(2009년), 유럽 재정위기(2012년) 등으로 성장률이 뚝 떨어졌던 해에는 예외 없이 줄었다. 지금처럼 기업의욕을 꺾는 상황이라면 아무리 세무조사를 해도 세금은 꼭꼭 숨어든다.
▶ 김연아 못지 않은 '박근혜 효과' 이 정도였어?
▶ "한국女 강간해도 괜찮다" 日 동영상 충격
▶ 전효성 "男 시선 때문에 가슴 부여잡고…"
▶ 가수 김혜연, 뇌종양 발견되자 유서를…충격
▶ 장윤정 '10년 수입' 탕진한 사업 뭔가 봤더니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