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 지원에 수천억 충당금…금융당국 압박에 '눈치싸움'
국민·우리·신한·하나·산업 등 주요 은행들의 기업구조조정 담당 부장 또는 본부장들이 15일 한자리에 모였다. 가끔 친목 도모나 정보 교류 차원에서 만났지만 이날 모임 분위기는 평소보다 무거웠다. 16일 쌍용건설의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에 따른 경영정상화 방안에 대한 서면결의를 앞두고 있어서다.
은행들은 이미 ‘딜레마’에 빠진 상태다. ‘밑 빠진 독’이 될지도 모르는 쌍용건설에 대규모 자금을 선뜻 투입할 수도, 그렇다고 건설·조선업체를 적극 도우라는 금융당국의 압박을 마냥 외면하기도 어려워서다. 실사 결과에 따르면 쌍용건설을 정상화하기 위해선 1조원 가까운 대규모 자금 투입이 필요하다.
은행들은 16일까지 쌍용건설 경영정상화 방안에 대한 동의 여부를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에 알려줘야 하지만, 지난달 말 나온 실사 결과 예상치보다 오히려 지원액이 더 늘어난 상태여서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자산관리공사(캠코)가 끝까지 공동 지원을 거부하면서 은행권의 부담이 더 늘어났다. 은행들은 쌍용건설에 신규 자금 4450억원을 투입하고 해외 사업 보증에도 2400억원을 지원해야 한다. 이미 결의한 1700억원 이외에도 1070억원 규모의 추가 출자전환까지 해줘야 한다. 투입 자금만 총 9620억원에 달한다.
채권단 관계자는 “신규 자금을 포함한 지원 자금 규모가 너무 크다”며 “특히 채권단 입장에선 신규 자금 지원과 동시에 수천억원 규모의 충당금을 새로 쌓아야 하기 때문에 지원 동의 여부를 놓고 서로 눈치만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은행 간 눈치작전이 이어지면서 쌍용건설 경영정상화 방안에 대한 서면결의도 다음주로 밀릴 전망이다. 우리와 산업 등 몇몇 은행들이 오는 21일에야 여신심사위원회를 열기로 했기 때문이다.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
▶[속보] 급등주 자동 검색기 '정식 버전' 드디어 배포 시작
▶[한경 스타워즈] 대회 전체 수익 2억원에 달해.. 비결은?
▶ 서태지-이은성, '50억' 평창동 신혼집 봤더니
▶ '윤창중 스캔들' 韓-美 반응이…대반전
▶ '무한도전 출연료' 얼마 올랐나 봤더니 겨우
▶ 장윤정, 집 처분하고 남편 도경완에게 가서는
▶ 첫 성관계 여대생 "콘돔 사용하자" 적극적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