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식업을 창업했다가 실패하는 사례들을 눈여겨보면 초지일관의 자세를 유지하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외식업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음식맛이다. 맛은 어느날 갑자기 완성되는 것이 아니다. 조리하는 사람이 완성하는 것도 아니다. 맛은 일관성 있는 주방의 맛과 그 맛을 좋아하는 단골 고객들의 뜻이 합쳐져서 만들어지는 것이다.
쉽게 풀어보자. 내가 생각하기에 음식이 매우 맛있는 식당이 있어서 친구를 데리고 가는 일이 있다. 하지만 음식을 먹어본 친구는 ‘맛이 별로’라고 하는 일이 종종 생긴다. 이런 일을 여러 번 경험하고 나서야 “맛이라는 것은 대단히 상대적이고 개인적”이라는 말의 의미를 깨달았다. 그렇다면 친구가 별로라고 하는 그 집은 어떻게 맛집으로 소문이 났을까.
답은 의외로 간단하다. 분명히 그 맛집의 음식은 먹을 만하다. 하지만 세상의 모든 입맛을 만족시키는 것은 아니다. 중요한 것은 그 맛집의 주방에서 만들어내는 음식의 맛이 오랜 세월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1년 뒤에도, 5년 뒤에도 항상 일정한 맛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러면 세월이 흐르는 동안 그 맛을 좋아하는 사람들만 그 집으로 모여들면서 입소문을 내는 것이다. 그런 맛집은 상권의 제한이 없다. 어떤 경우엔 특정 지역을 넘어 전국이 모두 상권이 된다. 맛은 맛집이 되기 위한 조건 중의 하나일 뿐이다. “우리 집을 찾는 손님들을 실망시키지 않겠다”는 초심을 끝까지 밀고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외식사업에 뛰어드는 사람들은 시간이 흐르면서 ‘오픈 효과’가 사라지고 매출이 떨어지는 현상을 경험한다. 그때는 대부분 초조해하며 메뉴를 추가하거나 업종을 변경한다. 이 경우 주방은 직접 주인이 맡지 않고 직원에게 맡기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런 음식점은 맛이 들쑥날쑥 변해서 성공하기가 어렵다. 고객들이 인정하고 입소문이 날 때까지 인내심을 갖고 기다려야 한다. 그래서 필자가 ‘원할머니보쌈’에 이어 두 번째 브랜드인 ‘박가부대’를 론칭하면서 가장 신경썼던 부분이 바로 고객의 인정이었다.
![](http://www.hankyung.com/photo/201305/2013051900721_AA.7462710.1.jpg)
박천희 < 원앤원 대표 >
▶ [분양 현장 포커스] 경기'남양주 지금 힐스테이트', 서울 접근 용이…녹지·여가시설 풍부
▶ 서울 재건축 저가 매물 소진…상승세 주춤
▶ [분양 현장 포커스] 서울'강남역 푸르지오시티', 편의시설 잘 갖춘 '서비스드 레지던스'
▶ [우리동네 리포트] 충남 아산, 인주산단 입주 잇달아…원룸 수요 늘 듯
▶ 인테리어 카페 '레몬테라스…'셀프공사·자재 공구<공동구매>도 등장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