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부
ddak@hankyung.com
![](http://www.hankyung.com/photo/201305/2013051906531_AA.7466548.1.jpg)
국경이 없는 인터넷에서 공개된 만큼 3D 프린터용 총기의 위협이 먼나라 얘기만은 아닐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국내에서도 총기가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은 아닐까. 기자는 곧바로 3D 프린터 업체를 수소문했다. 한 업체가 설계도 파일을 이용해 만들 수 있는지 시도해보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다만 총기 제작을 금지하는 국내법 때문에 16개 부품 중 유일한 금속부품인 공이는 제작 대상에서 빼기로 했다.
3D 프린터의 총기 제작 과정을 직접 지켜본 느낌은 충격적이었다. 권총을 만드는 데 걸린 시간은 단 하루였다. 시제품은 격발이 불가능한 수준이었지만, 제작 과정에서 정밀도를 조금만 높인다면 격발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업체 대표는 “설계도면을 응용하면 파괴력이 훨씬 큰 권총을 만들 수도 있다”며 악용될 소지를 우려했다.
국내 최초의 3D 프린터용 총기 제작을 다룬 기사를 본지 16일자에 보도했다. 신문에 기사가 나간 뒤 경찰청에서 여러 차례 전화가 걸려왔다. 총포화약계 관계자는 부랴부랴 총기를 제출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와 만나 3D 프린터용 총기에 대한 대비책이 있는지 물었다. 아직 대책을 세우지 못했다는 답이 돌아왔다. 미국에서 총기 격발에 성공한 지 열흘이 넘도록 아무런 논의조차 없었던 것이다. “국내에서 실제 총기는 물론 유사 총기를 만드는 행위는 이미 법으로 금지돼 있다”는 사실만 강조할 뿐이었다.
하지만 상황은 그리 간단치 않다. 누구나 3D 프린터를 이용해 손쉽게 총기를 만들 수 있고, 범죄에 악용할 수 있어서다. 플라스틱 총기는 금속탐지기에 검색되지 않아 테러에 이용될 소지도 다분하다. 설계도를 변경해 구경을 바꾸면 국군의 주력 화기인 K2 소총의 5.56㎜ 총알 발사도 가능하다고 한다. 3D 프린터 중에는 플라스틱이 아닌 티타늄 등 금속을 원료로 하는 것도 있어, 보다 강력한 총을 찍어낼 수도 있다. 가정용 3D 프린터는 현재 100만원이 채 안되는 가격에 팔리고 있다.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박병종 < 국제부 기자 dak@hankyung.com >
▶ 아내에 "성관계하자" 했다가 '전자발찌'…왜?
▶ '은지원은 박근혜 아들?' 50대女 폭탄 발언에
▶ 기성용 "2세 보고파" 고백하더니…깜짝
▶ 이은성, 작품 거절 이유가 서태지에 잡혀서…
▶ 장윤정, 신혼인데 '큰 집' 알아보는 이유가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