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랜차이즈는 지식산업
매출따른 로열티 제도로 본부·가맹점 신뢰 높여야
![](http://www.hankyung.com/photo/201305/2013052038891_AA.7469869.1.jpg)
가맹본부와 가맹점 간 생산적인 관계가 구축되기 위해서는 가맹본부의 사업노하우 전수에 가맹점이 대가를 지급하는 ‘로열티 지급 제도’가 조속히 정착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 비록 가맹점사업자단체 결성이 허용됐지만, 가맹본부와 가맹점 간 상생협의회 같은 자율기구로 대체하는 게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20일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프랜차이즈 산업이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신뢰도 제고방안’ 세미나에서 주제발표에 나선 전문가들은 정치권과 정부가 프랜차이즈 기업을 옥죄는 규제 입법에 열을 올리기보다 자율규제를 유도하는 것이 국가 경제를 위해 바람직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날 주제발표 내용을 소개한다.
◆美처럼 로열티 제도 도입 필요
장재남 프랜차이즈산업연구원장은 ‘가맹본부와 가맹점 간 생산적인 관계 구축방안’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미국처럼 가맹점 매출의 일정 비율을 로열티와 광고판촉비 명목으로 가맹본부에 지급하는 로열티제도를 도입해 가맹점과 가맹점주 간 신뢰를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로열티 제도를 적용하면 가맹본부는 로열티 수입을 늘리기 위해 가맹점의 매출 증대에 힘을 쏟을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이 같은 선진국의 프랜차이즈 시스템은 서로의 이익을 위해 상생 구조를 갖출 수밖에 없다고 장 원장은 강조했다. 반면 국내 프랜차이즈 업계는 가맹본부가 가맹점에 공급하는 상품의 마진(물류마진)에 의존하므로 가맹점이 불신의 눈초리로 가맹본부를 바라보게 된다는 논리다. 크린토피아, 한솥도시락, 본죽 등 일부 가맹본부가 과감히 로열티 제도를 도입했지만 업계 전반적으로 확산되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라고 장 원장은 진단했다. 로열티 제도가 정착되기 위해서는 가맹본부가 가맹점에 공급하는 상품에 마진을 붙이지 않는다는 믿음을 심어줄 수 있는 투명경영이 필수적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장 원장은 또 향후 가시화될 가맹점사업자단체 결성의 부작용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칫 가맹점사업자단체가 외부단체와 연계, 정치활동으로 흐를 경우 공멸의 늪에 빠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주장이다. 이를 막기 위해 가맹본부와 가맹점 간에 자율기구로 ‘상생협의회’를 발족시켜 여기서 메뉴개발, 광고판촉, 판매기법, 사회공헌활동 등을 논의하는 소통의 장을 마련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얘기다. 옴부즈맨 프로그램 도입도 제안했다. 이 프로그램은 양자의 차이점을 잘 아는 제3자를 옴부즈맨으로 지정, 정부 기관에 분쟁해결을 의뢰하기 전에 가맹본부와 가맹점 간 갈등과 분쟁을 자체적으로 해결, 상호 신뢰도를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는 설명이다.
◆자율규제로 경쟁력 높여야
박주영 한국프랜차이즈학회장(숭실대 벤처중소기업학과 교수)은 ‘프랜차이즈산업이 창업과 자영업자 경쟁력 강화에 미치는 영향’이란 주제발표에서 “통계청에 따르면 음식·숙박업의 창업 5년 후 생존율이 29%에 불과한 데 비해 정보공개서에 등록된 프랜차이즈 가맹점의 생존율은 85~90%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며 “이는 프랜차이즈가 자영업시장의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한다”고 강조했다.
박 회장은 프랜차이즈 가맹점이 비가맹점(개인 자영점)에 비해 경영성과와 고용창출 측면에서도 우월하다고 덧붙였다. 예를 들어 음식점업에 있어 가맹점 대 비가맹점의 경영성과를 비교하면 가맹점이 연간 평균 1억3428만원의 매출과 3339만원의 이익을 내는 데 비해 비가맹점은 1억1199만원과 2533만원의 이익을 내는 데 그친다는 설명(2012년 통계청 자료)이다. 음식점업의 경우 점포당 평균 종사자 수를 비교하면 8만5430개의 가맹점은 3.09명인 데 비해 50만867개의 비가맹점은 2.68명에 그치고 있다고 그는 소개했다. 이에 비춰 프랜차이즈 산업은 청년층과 베이비부머 은퇴자들에 대한 일자리 창출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패한 자영업자들의 재기를 위한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강창동 유통전문기자 cdkang@hankyung.com
▶ 술자리서 만난 女와 여관 갔다가 '이럴 줄은'
▶ 아내에 "성관계하자" 했다가 '전자발찌'…왜?
▶ 女배우, 노팬티 노출 사고 '중요 부위가…헉'
▶ '은지원은 박근혜 아들?' 50대女 폭탄 발언에
▶ 전현무-심이영, 돌발키스 후 잠자리까지 '경악'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