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사다리펀드] 민·관 '성장사다리펀드' 6조 조성…벤처 '죽음의 계곡' 없앤다

입력 2013-05-22 17:04   수정 2013-05-23 01:28

펀드 구성 어떻게…

'대박 벤처' 창출위해…M&A지원 펀드에 중점
정책금융이 손실 흡수…민간 리스크 크게 줄여




민관이 함께 조성하는 ‘성장사다리펀드’는 창업·혁신기업이 ‘창업->성장->회수’ 등 3단계 성장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맞딱드리는 ‘(자금의) 죽음의 계곡’을 벗어날 수 있도록 자금을 맞춤형으로 지원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각 단계별로 3~4개씩 11개 펀드를 만들어 창업·혁신기업이 겪는 돈가뭄을 적기에 해결해 주겠다는 취지다. 이를 통해 ‘대박’을 내는 벤처기업을 만들어 창조경제를 구현하겠다는 구상이다.

○11개 펀드 적기에 자금 공급

정부가 정책금융과 민간투자자를 통해 조성하는 성장사자리펀드는 모(母)펀드와 11개의 자(子)펀드로 구성된다. 창업단계에서는 창업기업과 엔젤투자자, 벤처캐피탈의 자금 수요를 통합적으로 장기간 제공하는 스타트업 펀드, 엔젤 투자자와 매칭펀드 형태로 돈을 대는 ‘엔젤 공동투자 펀드’, 다수의 소액투자자들에게 돈을 모아 기업에 자금을 대는 ‘크라우드펀딩 공동투자 펀드’ 등이 만들어진다. 또 초기에 실패하는 기업의 잔여 자산을 인수해 재기를 돕는 ‘창업자산 활용 펀드(초기 실패기업 M&A펀드)’도 구성한다.

정부는 특히 성장단계 기업 지원을 위한 펀드에 중점을 뒀다. 인수·합병(M&A)으로 큰 돈을 버는 미국 벤처기업들의 성공사례를 국내에서도 만들어 내겠다는 구상이다. 페이스북이 모바일 사진공유 프로그램 개발회사인 인스타그램을 10억달러(약 1조1000억원)에 인수하고, 야후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업체 텀블러를 11억달러(약 1조2000억원)에 사들인 게 대표적인 사례다.

정부는 창업 기업이 좋은 기술을 갖고도 사업화에 실패하고 대기업에 기술을 빼앗기는 것은 M&A 시장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은 탓이라고 보고 있다. 또 중소기업들이 회사채를 발행하거나 매출채권·특허·상표권 등을 유동화해 돈을 마련하기 쉽도록 구조화금융, 자산기반 금융 펀드도 조성키로 했다. 기업 분할, 성장 지원, 프로젝트 사업화 등 용도별 펀드도 만든다.

창업자와 투자자가 기업 투자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 길도 열어준다. ‘세컨더리 펀드’는 투자자의 지분을 인수하는 것이 목적인 회수 전용 펀드다. 현재 창업투자법 등에서는 창투조합 등이 투자자 지분 인수를 금지하고 있어 회수가 쉽지 않은데 이를 보완한다는 구상이다.

○‘정책자금+민간자금’ 매칭

성장사다리펀드의 가장 큰 특징은 ‘실패할 경우 정책금융기관이 손실을 먼저 부담하도록’ 했다는 점이다. 정책금융기관은 3년간 민관이 함께 조성할 6조원 중 5000억원을 후순위로 투입하기로 했다. 첫해만 해도 정책금융공사와 산업은행 기업은행 청년창업재단이 모두 6000억원을 펀드 재원으로 넣게 되는데, 이 중 1500억원은 후순위 투자자로 참여한다.

이렇게 되면 펀드에 돈을 태우는 민간 투자자들은 실패하더라도 정책금융기관이 먼저 손실을 볼 테니 부담을 훨씬 덜 느끼게 된다는 게 정부의 생각이다. 예컨대 펀드가 총 100억원을 여러 벤처기업에 나눠 투자했다가 일부 기업의 실패로 20억원(20%) 손실을 본다고 가정하자. 이 펀드에 정책금융기관이 10%손실을 우선부담(후순위 투자)키로 했다면, 나머지 민간 투자자들은 총 20% 손실 가운데 절반만 부담하면 된다. 대신 ‘대박’이 나면 그로 인한 이익은 후순위 투자자가 먼저 누린다. 정책금융기관은 ‘고위험·고수익’, 민간 투자자는 ‘중위험·중수익’을 노리도록 설계하는 셈이다.

정책금융기관으로서도 감당키 어려운 부담은 아니다. 김용범 금융위 금융정책국장은 “후순위 투자 규모가 1500억원으로 제한돼 있어 손실이 무제한 커지는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





▶[속보] 급등주 자동 검색기 '정식 버전' 드디어 배포 시작
▶[한경 스타워즈] 대회 전체 수익 2억원에 달해.. 비결은?


▶ [성장사다리펀드] "年 2조 신규투자 재원 확보"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