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머지 공장은 순차 재개
현대자동차 노동조합(금속노조 현대차 지부)이 주말특근을 재개하기로 했다. 지난 3월9일 주말특근을 거부한 지 12주 만이다.
현대차 노조는 22일 울산공장에서 문용문 지부장(노조위원장) 주재로 1~5 완성차공장 대의원 대표 회의를 열어 주말특근을 재개하기로 합의했다. 다만 특근 재개 시기는 공장별로 결정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다섯 개 완성차공장 중 2공장(싼타페, 베라크루즈, i40, 아반떼 생산라인)은 이번 주말부터 특근을 재개하기로 했다. 3공장(아반떼, 아반떼HEV, i30 생산라인), 4공장(포터Ⅱ, 그랜드 스타렉스, 맥스크루즈 생산라인), 5공장(에쿠스, 투싼ix, 제네시스, 제네시스쿠페)은 다음주께부터 순차적으로 특근을 재개하는 쪽으로 입장을 정했다. 특근 재개를 가장 강하게 거부했던 1공장(엑센트, 벨로스터 생산라인)은 주말특근을 재개하되 6월부터 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 노무담당 관계자는 “다음주부터 당장 주말특근을 재개하는 건 아니지만 늦게나마 주말특근을 재개하기로 해 다행”이라고 말했다.
현대차 노조는 주간2교대제를 도입한 직후인 3월9일부터 주말특근을 거부해왔다. 회사 측은 주간 2교대제 도입에 맞춰 ‘0+14’(1개조가 토요일 오후 5시부터 일요일 오전 8시까지 근무) 형태로 운영하던 주말 특근을 ‘8+9’ 형태로 바꾸자고 제안했다. 그러나 노조는 ‘8+9제’를 도입하면 종전보다 수당이 줄어든다며 특근을 거부했다. 11주 동안 이어진 노조의 주말특근 거부로 현대차는 지난 18일까지 7만9000대를 생산하지 못해 1조6000억원 상당의 생산 차질을 봤다. 재고 물량도 확 줄었다.
울산공장이 주말 특근을 재개하기로 함에 따라 현대·기아차의 다른 공장에도 영향을 줄 전망이다. 현재 주말특근을 하지 않는 현대차 공장은 울산 1~5공장, 전주 중·대형 트럭공장, 아산공장 등이다. 기아차에선 광주공장을 제외한 소하리, 화성공장이 특근을 거부하고 있는 상태다.
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
▶ 강호동, 사업으로 번 돈이…'이 정도일 줄은'
▶ '女비서' 면접 보러 갔더니 술 먹인 후…경악
▶ "승진 시켜줄게" 공무원, 女직원에 성관계 충격
▶ 류시원, 아내에 "죽는다"며 협박하더니…
▶ 도경완, 장윤정에 눈 멀어 부모님께 결국…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