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은 車·농산물 등 보복조치 경고
유럽연합(EU)이 중국의 태양광 패널에 대해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는 수순을 밟으면서 양측 간 무역 분쟁이 확산될 조짐이다. EU는 태양광은 물론 중국의 통신장비, 항공에 대해서도 반덤핑 관세와 탄소세 부과를 추진하고 있다. 반면 중국은 태양광 패널에 대한 반덤핑 관세 부과가 확정될 경우 EU에 대해 무역 보복을 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23일 상하이데일리에 따르면 중국 전기기계제품 수출입상연합회는 전날 베이징에서 열린 EU집행위원회와의 태양광 패널 가격 관련 1차 협상이 결렬됐다고 밝혔다. 이번 협상은 EU의 중국산 태양광 패널 제품에 대한 반덤핑 관세 부과 최종 결정을 앞두고 중국 측의 요구로 열렸다. 그러나 EU가 이미 중국산 제품에 대한 반덤핑 관세 부과 방침을 굳힌 뒤여서 협상이 타결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EU는 지난해 8월부터 중국산 태양광 패널에 대한 반덤핑, 반보조금 조사를 진행해왔으며 최근 평균 47%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EU는 24일 회원국 간 투표로 이 방안을 최종 확정한 후 6월6일부터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다. EU는 이와 함께 화웨이 ZTE 등 중국 통신장비업체에 대한 반덤핑 조사에 착수할 준비를 마쳤고, 중국의 8개 항공사에 대해서도 탄소세로 240만유로를 징수하겠다고 통보했다.
이에 대해 선단양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최근 “EU가 태양광 패널에 대해 반덤핑 관세를 부과할 경우 중국은 합법적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대응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중국의 유럽에 대한 태양광 제품의 수출 규모는 지난해 204억달러에 달했다. 반면 유럽에서 수입되는 태양광 제품 및 원료는 77억달러에 그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 내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유럽산 자동차, 농산물, 태양광 등에 대한 보복 조치를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고 경제참고보가 전했다. 이 신문은 “중국의 EU에 대한 반격은 유럽산 폴리실리콘에 대한 반덤핑 관세 부과로 시작할 가능성이 크다”며 그러나 무역전이 확대되면 양측에 적지 않은 피해가 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베이징=김태완 특파원 twkim@hankyung.com
▶ "남자경험 많은 女는…" 비하 발언은 기본에
▶ 강민경, 무보정인데 가슴골이…'헉' 소리나네
▶ '女비서' 면접 보러 갔더니 술 먹인 후…경악
▶ NS윤지, 엎드리자 터질듯한 가슴…'깜짝'
▶ 강호동, 사업으로 번 돈이…'이 정도일 줄은'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