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정치권 일각에서 추진하는 연금을 통한 기업 의결권 관여는 절대 불가다. 민간기업의 경영권을 국가가 침탈하는 일이 있을 수는 없다. 국민연금은 전 국민으로부터 강제로 보험료를 거둬 조성된 만큼 국민의 총의를 수렴하지 않은 상황에서 개별적 기업에 개입할 수는 없다. 국민연금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5% 이상의 지분을 가진 상장사가 222개에 달했다. 지분이 9%를 넘는 곳도 67개사나 된다. 국민연금이 마음만 먹으면 개별 기업이 아니라 산업 전체를 지배할 수 있다. 연금의 경영권 개입은 일종의 악마의 유혹이다. 최 이사장이 이런 싸구려 사회주의에 현혹되지는 않으리라고 보지만 주의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다른 하나는 소위 더 내고 덜 받는 것을 연금 개혁이라고 부르지 않기를 바란다. 국민연금은 본인이 낸 돈에 이자를 붙여 나중에 되돌려받는 저축이 아니라, 현역 세대의 노후를 미래세대에 의탁하는 세대간 부조다. 이런 불편한 진실을 국민에게 알려야 한다. 그런 바탕에서라야 연금의 개혁도 신뢰도 가능할 것이다. 국민연금 지배구조 문제에 대한 출구전략도 강구해야 한다. 결국 비대한 덩치가 문제 아닌가 말이다. 현재 기금규모는 수익금까지 합쳐 490조원에 이른다.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연기금이다. 이런 거대 기금을 굴려서 연평균 6%의 장기 목표 수익률을 내기도 어렵거니와, 그 과정에서 자산시장 왜곡은 불가피해진다. 민영화 내지는 복수기금·복수펀드로의 분할을 통한 경쟁체제의 물꼬를 터야 할 것이다.
정치권은 국민연금을 봉으로 알고 있다. 국회에 계류 중인 국민연금 개정법안만도 여러 건이다. 이런 사정을 최 이사장은 누구보다 잘 알 것이다. 기대를 실망으로 바꾸지 않기를 바란다.
▶ 女고생 "3개월간 성노예였다" 선배가 강제로…
▶ 기성용-한혜진 웨딩 비용 얼만가 봤더니…헉
▶ 공무원男女 수십명, 한 호텔에서 집단으로…
▶ 정경미-윤형빈 결혼 2달 만에 '이럴 줄은'
▶ '목욕탕 때밀이' 실체 밝혀지자…"이럴 수가"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