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재정적자 감축 연장 등 경기부양으로 무게중심 이동
미국 유럽의 거시경제 정책 기조가 엇갈리고 있다. 금융위기 이후 적극적인 재정·통화정책으로 가까스로 침체에서 벗어난 미국은 최근 양적완화의 출구를 찾고 있는 반면 유럽은 경기 부양에 팔을 걷어붙였다. 그동안 미국이 홀로 이끌어온 세계 경제 성장에 유럽이 기여하게 될지, 아니면 인플레이션과 함께 재정적자만 늘리는 결과를 초래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미국 거시경제 정책의 최대 관심사는 미국 중앙은행(Fed)의 3차 양적완화(QE3)다. Fed는 지난해 9월부터 850억달러의 국채 및 모기지 채권을 매입하는 QE3를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경기 회복세가 완연해지고 증시가 과열된 게 아니냐는 우려마저 나오면서 QE3를 조기 종료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벤 버냉키 Fed 의장도 지난주 의회 청문회에서 “경제성장률이 높아지면 채권 매입 규모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런데다 29일(현지시간)에는 폴 볼커 전 Fed 의장이 “인플레이션은 한 번 발생하면 되돌릴 수 없다”며 QE3의 위험성을 경고하기도 했다.
반면 유럽은 긴축에서 경기부양으로 무게중심이 완전히 옮겨갔다. 유럽연합(EU)이 29일 프랑스 스페인 네덜란드 등에 ‘국내총생산(GDP) 대비 재정적자 3% 이내’ 달성 기한을 별다른 이견 없이 1~2년 연장해 준 게 대표적이다.
지난해 11월 그리스에 2차 구제금융을 제공하면서 12시간 넘게 ‘밤샘토론’을 벌인 것과는 대조적이다. 더 이상 실업 문제를 방치할 수 없다는 위기감 때문이다. 조제 마누엘 바호주 EU집행위원회 위원장은 “실업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장기적으로 회원국의 복지 시스템 전체가 흔들릴 수 있다”고 말했다. 또 국채금리가 상대적으로 안정돼 있을 때 빨리 성장을 촉진해야 한다는 급박함도 작용했다. 국채금리가 올라가면 이자 부담이 높아져 경기부양을 위해 쓸 돈이 줄어든다.
뉴욕=유창재/남윤선 기자 yoocool@hankyung.com
▶ 美서 '165억' 탕진한 배우 임영규, 딸 보더니
▶ 낸시랭 퍼포먼스 '엉덩이 노출'…사고 아냐?
▶ 기업 임원, 이웃집 女 앞에서 19금 행위를…
▶ 유부女, 성폭행 당해도 말 못한 이유가…충격
▶ '방송사고' 손진영, 지나 가슴에 손을…헉!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