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지경이 된 것은 출발부터 예견됐던 일이다. 다른 지주회사와 달리, 농협은 중앙회가 경제·금융지주의 지분을 100% 소유한 ‘1중앙회, 2지주’ 구조다. 지주회사 위에 중앙회가 군림하는 옥상옥이다. 더구나 1년 전 구조개편 과정에서 금융지주는 경영 분리에도 불구하고 중앙회의 지도·감독을 계속 받도록 농협법이 개정돼 버렸다. 이런 상황이라면 지주사들이 인사·경영의 자율성을 갖기 어렵다. 바로 이 때문에 농협금융지주 회장과 농협경제 대표 등이 1년도 안 돼 일제히 사퇴하고 말았던 것이다.
농협 구조개혁이 표류하는 근본적인 원인은 농협의 경제·금융사업이 이미 감당할 수 없는 덩치로 커졌다는 데 있다. 농협금융지주는 자산 246조원으로 금융권 5위이고, 경제지주는 웬만한 재벌그룹보다 큰데 이를 1인1표식 조합주의로 끌어간다는 것 자체가 무리라는 지적이다. 더구나 정치바람을 타는 중앙회가 시시콜콜 간섭해서는 금융사업도, 경제사업도 정상적으로 경영되기 어렵다. 농협금융에서 해킹사고가 빈발한 것도 지배구조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결국 중앙회는 배당받는 대주주로 남고 각 지주회사의 경영에선 손을 떼도록 지배구조를 개혁하는 것 외엔 달리 방법이 없다. 농협에서 정치를 제거하지 않는 한 개혁은 요원하다.
▶ 김구라, 10년 간 방송만 해서 번 돈이…깜짝
▶ "장윤정에 보복할 것" 폭탄 발언…가족 맞아?
▶ 美서 '165억' 탕진한 배우 임영규, 딸 보더니
▶ '방송사고' 손진영, 지나 가슴에 손을…헉!
▶ 장윤정 배후 누구길래? 남동생 폭로 '깜짝'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