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국비 더 달라" vs 정부 "못준다"
![](http://www.hankyung.com/photo/201306/2013060327981_AA.7514516.1.jpg)
재원 부담을 둘러싼 중앙정부와 서울시의 ‘치킨 게임’으로 무상보육이 벼랑끝에 내몰리고 있다. 서울지역 25개 자치구는 양육수당을 모두 썼지만 중앙정부와 서울시는 계속 대립 중이다.
3일 서울시와 일선 자치구에 따르면 서울지역 25개 구의 양육수당은 지난달 25일 기준으로 모두 소진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3월부터 시작한 0~5세 전 계층 양육수당 지급이 3개월 만에 중단 위기를 맞은 것이다.
서울시의 연간 양육수당 소요 예산은 국비를 포함해 총 3098억원이지만 서울시와 자치구가 올해 편성한 예산은 3분의 1 수준인 1057억원에 그쳤다. 예산편성 ‘미스매치’는 무상보육이 확대됐음에도 서울시가 확대 이전 기준으로 예산을 편성한 때문이다.
국회와 정부는 소득 하위 15% 가구에만 지원하던 양육수당을 모든 계층으로 확대하는 내용을 담은 ‘2013년 0~5세 전면 무상보육 예산안’을 지난해 말 확정했다. 지방자치단체들은 이에 따라 예산을 확대 편성했지만 서울시는 2012년 기준에 따라 수립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전국 17개 지자체의 편성금액 대비 실제 편성예산은 보육수당 81.1%, 양육수당 47.7% 수준이다. 서울시는 각각 69.7%, 14.3%에 그쳤다.
서울시는 자치구 양육수당 예산이 바닥남에 따라 다음달부터 시 보육예산을 양육수당으로 전용, 구에 지원할 계획이다.
강경민/주용석 기자 kkm1026@hankyung.com
▶ '전면 무상보육' 감당도 못하면서…예산 펑크나자 떠넘기기 급급
▶ 서울시-정부, 볼썽사나운 감정싸움
▶ 임시국회에 쏠린 눈…국고지원 늘리는 보육법 개정안 처리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