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소 가동 땐 18만가구 사용
주민들 "어업생존권 파괴" 반대
“지난해 4월 환경부가 반려한 내용을 모두 담아 환경영향평가서를 보완했습니다. 이번주 환경부에 다시 제출할 계획입니다.”
가로림조력발전(주) 관계자는 3일 “환경부가 검토하는 데 통상 몇 개월 걸린다”며 “오는 8~9월께 환경부 승인을 받으면 올해 안에 최종 인허가가 날 것”이라고 말했다.
33년째 갈등을 빚고 있는 가로림만 조력발전소 건설 사업 시행자인 가로림조력발전 측이 이번주 중 환경부에 보완한 환경영향평가서를 제출하기로 함에 따라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됐다. 그동안 이 사업을 반대해 온 시민단체와 주민의 반발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지역 발전 앞당길 조력발전소
![](http://www.hankyung.com/photo/201306/2013060325991_AA.7514341.1.jpg)
회사 관계자는 “가로림만 조력발전소가 가동되면 에너지 수급 불안정에 대비할 수 있다”며 “정부가 이런 이유로 지난 2월 제6차 전력수급계획에 가로림만 조력발전소를 포함했다”고 말했다. 가로림조력발전 측은 발전소를 가동하면 소양강댐 수력발전의 20배가 넘는 18만 가구가 사용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연 200만명의 일자리 창출과 특별지원사업비 140억원, 지방세수 160억원 증대 등 침체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장기적으로는 세계 최대 조력발전소라는 지역 랜드마크로 해마다 수백만명의 관광객 유치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갯벌 파괴 및 주민 생계 끊겨
가로림만 조력발전소 건설에 반대하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가로림만은 15개 어항이 밀집해 있고 어업 생산량이 연간 4000에 달하는 충남 지역 양식 및 연안 어업의 중심지다. 2000여 가구, 5000여명이 이 일대 어업으로 생계를 이어가고 있다. 시민단체와 주민은 “가로림만 조력발전소가 건립되면 해수 교환이 제대로 되지 않아 염도 변화와 부영양화, 적조 발생 등으로 수질이 급격히 악화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댐 안쪽에 해류의 흐름이 약해져 펄이 퇴적해 어장이 황폐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갯벌 감소, 생태계 변화, 수산생물 서식환경 변화 등 생태계 파괴로 이어져 바다를 보고 살아온 어민들의 생계마저도 위협받을 게 뻔하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박정섭 가로림만 조력발전소 반대 투쟁위원회 위원장은 “가로림만 일대 46개 어촌계 중 발전소 건설에 찬성하는 어촌계는 5곳에 불과하다”며 “발전소가 건설될 수 없도록 끝까지 투쟁하겠다”고 강조했다.
2005년 당시 해양수산부는 가로림만이 국내 갯벌 중 보존상태가 가장 양호하다는 평가 결과는 내놨다. 2007년에도 해수부는 가로림만 환경가치평가를 해수면을 제외한 갯벌 가치만 ㏊당 연간 3135만원에 이른다고 분석했다.
서산=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
▶ 女승무원과 성관계 후…반전 결과에 '경악'
▶ 박시연, 임신 도중 충격 사실이…발칵
▶ "장윤정에 보복할 것" 폭탄 발언…가족 맞아?
▶ 김구라, 10년 간 방송만 해서 번 돈이…깜짝
▶ '방송사고' 손진영, 지나 가슴에 손을…헉!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