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10년 성장엔진은 아시아"…속도내는 호주의 구애

입력 2013-06-07 17:01   수정 2013-06-10 19:18

글로벌 이슈 따라잡기 - '자원부국' 호주 교역량 62%는 아시아

10대 교역국 7곳 아시아
광물·원유 등 수출 급증…中성장둔화엔 경제 '움찔'

교육·금융 등 서비스 교류 확대…3년내 교역량 GDP 3분의 1로
아시안컵 통해선 유대강화 노려




호주 정부는 지난해 10월 ‘아시아 시대의 호주’라는 백서를 발표했다. 레이철 베이컨 호주 총리 및 내각실 수석조정관은 당시 “21세기 아시아 시대에 호주가 새로운 기회와 도전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개척해 나갈 것인가에 대한 로드맵”이라고 설명했다.

호주가 아시아를 향한 보폭을 넓히고 있다. 18세기 영국의 유배 식민지로 개척된 호주는 영연방 국가지만 지리적으로 아시아·태평양지역에 속해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역내 국가들과의 전방위 관계 강화에 나서고 있다. 특히 아시아백서는 중국과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한국을 ‘아시아 핵심 5개국’으로 꼽았다.

○호주 경제 성장 발판은 아시아

호주 경제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미국과 유럽이 휘청거릴 때도 견실한 성장세를 이어 왔다.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의 자원 수요 증가가 호주 경제를 뒷받침했기 때문이다.

호주 외교통상부에 따르면 2011~2012 회계연도(2011년 7월~2012년 6월) 호주와 아시아 국가 간 교역 규모는 3882억호주달러(약 423조원)로 전체 교역량의 62%를 차지했다. 중국(교역 비중 20.4%, 1위), 일본(12.1%, 2위), 한국(5.3%, 4위) 등 호주의 주요 10개 교역국 가운데 미국 영국 뉴질랜드를 제외하면 7개국이 모두 아시아 국가다.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와 이에 따른 원자재값 하락으로 자원개발 붐이 정점을 찍었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호주도 긴장하고 있다. 호주의 대중국 수출 품목 가운데 광물과 원유 등 천연자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80%가 넘는다.

BHP빌리튼과 리오틴토 등 호주의 대형 광산기업들은 몇몇 프로젝트를 연기하거나 취소했다.

하지만 장기적인 아시아지역 수요에 대해선 낙관하는 분위기다. 세계 2위 광산회사인 리오틴토의 데이비드 피버 이사는 “중국 같은 경제규모에서 7~8% 성장은 결코 낮은 게 아니다”라며 “중국뿐 아니라 인도 등 아시아 신흥국의 산업화와 도시화로 원자재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로버트 블레이니 뉴사우스웨일즈(NSW)주 에너지·천연자원 투자부장도 “중국 1인당 국민소득이 2만달러가 될 때까지는 꾸준한 자원 수요 증가를 예상한다”고 말했다.

○한·호주 FTA 등 교류 확대 추진

호주는 자원뿐 아니라 농산물과 교육 금융 등 서비스 분야 교역 확대도 꾀하고 있다. 호주는 현재 국내총생산(GDP)의 4분의 1 수준인 아시아국가들과의 교역을 2015년까지 3분의 1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자유무역협정(FTA)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 내 무역 장벽 낮추기에 적극적이다. ‘투자자·국가 소송제(ISD)’ 등 몇 가지 이슈로 협상이 진전되지 않고 있는 한·호주 FTA도 호주 쪽에서 보다 적극적인 편이다. ISD란 해외투자자가 상대국의 법령·정책 등에 의해 피해를 볼 경우 국제중재를 통해 손해배상을 받도록 하는 제도다.

한국 정부는 호주에 투자하는 한국 기업들을 보호하기 위해 ISD를 FTA에 반영하려 하지만 호주 집권 노동당은 모든 FTA에 ISD를 배제한다는 원칙을 갖고 있다.

그러나 오는 9월 총선에서 정권을 잡을 가능성이 높은 야당연합은 이 문제에 상대적으로 유연하다. 줄리 비숍 연립야당 부대표(예비내각 외무장관)는 “노동당처럼 이념적으로 집착하지 않고 ISD를 협상테이블에 올려놓을 수 있다”고 말했다.

○아시안컵 개최 등 문화 스포츠 교류 강화

호주는 사회 문화적으로도 아시아와의 유대 강화에 나서고 있다.

마이클 브라운 2015호주아시안컵 조직위원회 위원장은 “호주에서 축구는 이민자들의 스포츠”라며 “단순한 운동경기가 아니라 호주와 아시아를 연결시키는 창구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호주는 2006년 아시아축구연맹(AFC)에 가입해 2007년부터 아시안컵에 참가해 왔다.

호주에는 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 각국에서 700만명이 넘는 이민자가 들어왔다. 최근엔 아프리카와 중동지역 이민자가늘고 있다. 다민족이 섞여 살면서 호주 정부가 각별히 신경 쓰는 것 중 하나가 인종차별과 관련한 범죄다. 과거 ‘백호주의(백인우선정책)’의 부정적 이미지 때문에 이 부분에 특히 민감하다.

스테판 커크야샤리안 NSW주 소수민족위원회 의장은 “기존에 자리 잡은 이민자 그룹이 새로 유입되는 이민자들에게 텃세를 부리는 경우가 있긴 하지만 문화교류 프로그램 등을 통해 지역사회 융화에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

시드니·멜버른=박성완 기자 psw@hankyung.com



▶ 유럽 분유 사재기에 품귀현상까지…금·다이아몬드·부동산 '원정투자'
▶ 한국 기업의 호주 투자는…글로벌 위기에도 61.7% 급증…자원 이어 금융사 부동산 투자 늘어
▶ 현대 베라크루즈, 빵빵한 6기통 디젤엔진 정숙·주행·안전성 '듬직'…그런데 가격은 좀 내리면 안되겠니?
▶ 고철 장사하던 27세 청년, 주물설비 인수해 압연롤 외길 "獨·日 강소기업과 경쟁하죠"
▶ 성능 좋은 건 알겠는데…너무 비싸~매력도 그다지~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