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무접촉 대표단들이 9일 오전 10시부터 10일 새벽까지 이틀째 마라톤협상을 벌인 데는 사실상 이 두 문제에 대한 양측의 견해가 팽팽했기 때문인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 측은 김양건 통전부장을 직접 거명하지는 않았지만 남북 현안을 포괄적으로 논의하려면 통일부 장관의 파트너로 통일전선부 부장이 나와야 한다는 입장을 간접적으로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서 북한 측에 여지를 준다는 차원에서 회담의 명칭도 당초의 '남북 장관급 회담'에서 '남북당국회담'으로 수정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북한은 과거 21차례에 걸친 장관급 회담에 통일전선부장이 아니라 내각 책임참사 등이 단장으로 나왔다는 이유를 들며 사실상 난색을 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회담 대표단의 규모와 수석대표의 급에 대한 내용이 담긴 발표문 제4항은 남북이 서로 다른 내용을 발표하는 것으로 최종 마무리가 됐다.
우리측은 "남측 수석대표는 남북문제를 책임지고 협의 해결할 수 있는 당국자로 하기로 했다"고 발표했고, 북측은 "북측 단장은 상급 당국자로 하기로 했다"고 고 발표했다.
아직 북한에서 대표단 명단을 확정한 것은 아니지만 '상급'이라는 단어로 볼 때 김양건 부장이 나올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관측이 많다.
최종 합의문 도출에 발목을 잡은 또 하나의 쟁점은 6·15 공동선언 기념행사 문제 등을 명시적으로 의제에 포함하느냐의 문제였다.
우리 측은 개성공단 정상화 문제, 금강산관광 재개문제, 이산가족 상봉을 비롯한 인도주의 문제를 본회담에서 논의할 의제로 제시했다.
북한 측은 개성공단, 금강산 이산가족 상봉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었지만 '6.15 및 7.4 발표일 공동 기념문제'와 '민간래왕과 접촉', '협력사업 추진문제'를 적시해야 한다고 맞섰다.
결국 이견을 좁히지 못한 남북 양측은 회담 의제에 관한 발표문 제3항도 각기 다른 내용을 발표하는 것으로 합의했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 윤형빈 경악, 정경미 알고보니 '사기 결혼'
▶ 박시후, '성폭행 사건' 끝난지 얼마나 됐다고…
▶ 김미려 혼전임신설 묻자 대답이…'충격'
▶ 장윤정 내막 드러나자 열성 팬까지 '돌변'
▶ 김학래, '年 100억' 벌더니…"이 정도는 기본"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