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쑤~ 해설이 있는 국악 한마당

입력 2013-06-11 16:57   수정 2013-06-11 21:43

24일부터 민속극장 풍류서


“정신과를 찾는 사람이 늘어나고 자살률이 세계 최고를 달리는 나라가 돼 버렸습니다. 급격한 산업화를 겪으며 우리의 얼과 혼을 잃었기 때문이죠. 우리 소리를 들으며 마음을 치유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머리로 헤아리지 말고 마음을 열고 지금 이 순간 무슨 소리가 들리는지 귀 기울여 보길 바랍니다.”

국악공연 ‘득음+쉼’에서 해설을 맡은 마가 스님은 11일 서울 필동 한국의집에서 열린 공연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오는 24일 서울 삼성동 민속극장 풍류에서 나흘간 열리는 이 공연은 ‘해설이 있는 국악’이라는 독특한 형식의 국악 무대다. 판소리, 가곡, 범패 공연에 각 분야 전문가가 해설을 곁들인다. 판소리는 신영희 송순섭 씨와 소설가 김홍신(소설가) 씨, 가곡은 김호성 김영기 씨와 신웅순 중부대 교수, 범패는 구해 스님과 마가 스님이 짝을 이뤄 무대를 꾸민다.

이번 공연은 한국 3대 성악인 판소리, 가곡, 범패를 알리기 위해 기획됐다. 가곡은 가사에 음을 붙인 것으로 선비들이 자기 수양을 위해 불렀던 노래다. 판소리가 가슴의 한을 밖으로 풀어내는 방식인 데 비해 가곡은 감정을 밖으로 드러낼 수 없었던 선비들이 가사를 읊조리며 한을 안으로 삭이던 노래다. 범패는 불교의 의식음악으로 한국 음악의 기원을 범패에서 찾을 만큼 역사가 길다.

마가 스님은 “지금까지 공연이 소리 내는 사람 위주였다면 이번 공연은 관객이 중심이 되는 공연이 될 것”이라며 “국악을 통해 지친 삶을 힐링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공연이 열리는 민속극장 풍류는 다른 공연장에 비해 무대와 객석의 거리가 좁다. 출연자들의 표정과 손짓 하나까지 그대로 전달돼 대화하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어 좋다. 전석 5000원. (02)3011-2178

김인선 기자 inddo@hankyung.com




女직원들, 짧은 치마입고 아침마다…'민망'
'한혜진 교회' 가보니…배우들 이런 일도 해?
도경완, 장윤정에 '계획적 접근' 소문나자…
한채영·조영남 사는 '강남빌라' 봤더니…깜짝
박시후, '성폭행 사건' 끝난지 얼마나 됐다고…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