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hankyung.com/photo/201306/2013061137941_AA.7539390.1.jpg)
한국경제신문이 11일 입수한 ‘2008~2011년 정부 대학 재정지원사업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정부는 2011년 전국 225개 4년제 대학에 연구개발(R&D)비, 장학금 등 117개 사업을 통해 총 3조2360억원을 지원했다. 대학 한 곳당 평균 143억원씩 돌아간 셈이다. 국립대에 인건비, 운영비 등으로 지급하는 경상비(2조4485억원)는 제외한 금액이다.
정부 재정지원 규모는 2008년 1조8329억원에서 2010년 2조3945억원으로 늘어난 데 이어 2011년 처음으로 3조원을 돌파했다. 2012년 재정지원 규모는 오는 8월 말 집계될 예정이다.
서울대는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총 3144억원)에서 617억원, 중견연구자지원사업(총 2918억원)에서 496억원 등 R&D에 관한 한 거의 모든 부문에서 가장 많은 금액을 받았다. 67억원짜리 글로벌공학교육센터 지원사업은 독식하기도 했다. 전체 117개 사업 가운데 83개 사업을 수주했다.
포스텍은 2008년 4위였지만 2009년부터 3년째 2위를 지키고 있다. 이 대학도 2011년 800억원 규모의 방사광가속기 연구지원사업을 따내는 등 R&D 분야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다. 포스텍은 대학원 포함 학생 정원 4000명, 전임교수 265명의 작은 대학이지만 정원 3만명, 교수 1580명의 연세대(3위·1733억원)를 앞서는 성적을 내고 있다.
3위 고려대, 4위 부산대, 5위 성균관대 등 10위권 내 대학들은 4년간 순위 변동이 거의 없었다. 여자대학 가운데 유일하게 10위권에 든 이화여대(800억원)는 선도연구센터지원 175억원, 바이오의료기술개발 86억원 등 R&D 외에도 국제교육교류 활성화 15억원, 인문학 진흥 14억원 등 다양한 분야의 사업을 따냈다.
지역별·설립주체별로는 수도권 국립대 10곳에 총 4608억원이 지원됐다. 대학당 평균 460억원 꼴이다. 이어 34개 지방 국립대에 평균 260억원, 79개 수도권 사립대에 평균 151억원, 102개 지방 사립대에 평균 68억원씩 돌아갔다. 정부 재정지원 규모가 커지면서 지방대들에 지급되는 금액도 늘어났지만 증가폭은 수도권 대학들에 비해 작았다.
교육부 고위 관계자는 “지방대 육성 정책에 따라 지방대에 지원하는 규모는 계속 늘어나겠지만 대학별·사업별로 검증을 강화해 잘하는 대학은 돈을 더 주고 부실대학은 지원을 줄여 대학 교육을 정상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현우 기자 hkang@hankyung.com
▶ 女직원들, 짧은 치마입고 아침마다…'민망'
▶ '한혜진 교회' 가보니…배우들 이런 일도 해?
▶ 도경완, 장윤정에 '계획적 접근' 소문나자…
▶ 한채영·조영남 사는 '강남빌라' 봤더니…깜짝
▶ 박시후, '성폭행 사건' 끝난지 얼마나 됐다고…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