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증권사 최찬석 애널리스트는 "4월부터 5월까지 디지털 가입자는 8만명 순증했다" 며 "이는 전년 2분기의 6만6000명, 올 1분기 10만명보다 빠른 속도"라고 분석했다.
경쟁사인 스카이라이프의 OTS 상품의 3년 약정 만기가 다가오면서 CJ헬로비전은 가입자당 월평균매출(ARPU)을 다소 희생하더라도 결합 및 장기약정 할인 확대로 가입자 확보 속도를 높이고 있다는 설명이다.
주문형비디오(VOD) 매출의 고성장이 예상되는 것도 긍정적이란 평가다. 그는 "1분기에 전년보다 60% 증가하며 150억원을 기록했던 VOD 매출액은 2분기에도 200억원 수준으로 늘어날 것" 이라며 "고성장이 전망된다"고 밝혔다.
1분기 실적 악화의 주요인이었던 이동통신재판매(MVNO) 관련 손실 폭이 감소하고 있는 것도 호재다. 1분기 MVNO 관련해서 집행된 비용이 200억원 수준이었으나, 4~5월에는 70억원 수준까지 감소했다. 이 같은 비용 감소는 정부의 단말기 보조금 규제에 따라 마케팅 비용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한경닷컴 정혁현 기자 chh03@hankyung.com
▶[속보] 급등주 자동 검색기 '정식 버전' 드디어 배포 시작
▶[한경 스타워즈] 대회 전체 수익 2억원에 달해.. 비결은?
▶ 女직원들, 짧은 치마입고 아침마다…'민망'
▶ '한혜진 교회' 가보니…배우들 이런 일도 해?
▶ 도경완, 장윤정에 '계획적 접근' 소문나자…
▶ 한채영·조영남 사는 '강남빌라' 봤더니…깜짝
▶ 박시후, '성폭행 사건' 끝난지 얼마나 됐다고…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