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결국 납품업체 목 조르는 대형마트 강제휴무

입력 2013-06-16 17:28   수정 2013-06-16 23:48

전통시장을 살린다는 명분으로 지난 4월부터 시행된 대형마트 공휴일 의무휴업제(월 2회)가 지난주로 50일을 맞았다. 예상했던 대로 대형마트 매출 감소는 상당히 심각한 수준이라고 한다. 5월 매출은 전월비 5% 안팎 줄었는데 휴일 휴무 점포 비중이 90% 정도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9월께는 매출 감소폭이 훨씬 커질 것이란 전망이다. 더욱이 공휴일 매출이 평일의 2.0~2.5배임을 감안하면 휴일 의무휴업제를 전면 실시할 경우 연간 60일 정도 문을 닫는 것과 같다는 게 업계의 주장이다.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의 취지 자체가 골목상권을 살리자는 것인 만큼 대형마트 영업손실은 당연하다고 볼 수도 있다. 문제는 피해가 엉뚱한 곳에까지 미친다는 데 있다. 채소 등을 납품하는 중소업체들이 매출 감소를 이기지 못하고 줄줄이 납품을 중단하거나 아예 폐업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대형마트와 달리 자금력이 달릴 수밖에 없는 이들에게 매출 감소는 거의 사망선고다. 학계는 의무휴업일로 납품 협력업체와 농어민의 매출 감소액이 연간 4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갑(甲)’으로 불리는 대형마트를 겨냥한 의무휴업제가 엉뚱하게도 대표적인 ‘을(乙)’인 납품업체를 고사시키고 있다는 얘기다. 이런 사정은 대형마트 입점업체들도 크게 다르지 않다고 한다.

이런 문제는 오래전부터 예견됐다. 대형마트 의무휴업이 검토되던 지난해부터 우리가 본란에서 누누이 지적해 온 바이기도 하다. 1주일 먹거리를 일요일에 장보는 것은 이제 하나의 라이프사이클로 자리 잡았다. 이는 의무휴업제 도입을 주도했던 사람들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게다가 의무휴업제로 전통시장이 살아나고 있다는 증거 또한 미미하다.

이런 큰 흐름을 외면하면서 무조건 전통시장을 살리자는 주장은 위선이요, 손바닥으로 해를 가리는 꼴이다. ‘을’을 지키자며 법석을 떠는 정치인들에게 이들 납품업체의 어려움은 안중에도 없다는 말인가.




女가수, 남편 외도현장 급습 후…충격 고백
송대관 이태원 집 '경매行'…아내 때문에?
소녀시대 수영, 생방송 중 노출사고 '아찔'
'월세' 사는 박완규, 행사 수입 어디에 썼길래
장근석, 85억 빌딩 매입한지 3년 만에…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