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hankyung.com/photo/201306/2013061795881_02.6926190.1.jpg)
요즘 국민은행을 비롯한 KB지주 계열사 임원들을 만날 때마다 듣는 얘기다. 여러 사람의 실명을 거명하며 꼬치꼬치 캐묻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들에겐 공통적으로 자신의 앞날에 대한 짙은 불안감을 읽을 수 있다. 누가 차기 행장이 될 것인지, 어떤 사람이 주요 보직의 부행장이 될 것인지를 알아야 자신의 거취를 위한 ‘사전 작업’을 할 수 있다고 판단, 정보수집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이다.
KB지주와 계열사 직원들의 이 같은 행태에 대한 금융권의 시선은 싸늘하다. 2001년 국민은행과 주택은행이 합병해 국내 최대 은행으로 재탄생하면서 금융권의 기대를 한 몸에 받았던 조직이 오히려 금융 발전의 걸림돌이 돼 버렸다는 일종의 배신감이다. 능력보다 정치력이 더 중요한 곳에 무슨 미래가 있겠느냐며 ‘돌직구’를 던지는 이들도 적지 않다.
KB 임직원도 할 말이 많을 것이다. 주인 없는 회사이다 보니 회장이 바뀔 때마다 권력 구도가 요동쳤고, 그 틈바구니에서 ‘정치 세력’이 득세하는 역사를 겪어 왔기 때문이다. 국민은행의 한 지점장은 “실력으로 보면 A가 올라가야 맞는데, 뚜껑을 열어보면 로비를 열심히 한 B가 발탁되는 경우가 다반사였다”며 “이런 분위기에서 누가 업무에만 매달릴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누적된 ‘학습효과’로 인해 인사철이 닥칠 때마다 연줄을 찾아 로비하는 풍토가 만연해 있다는 푸념이다. 실제로 지주 지도부가 교체될 때마다 한직과 핵심 보직을 오가는 ‘셔틀’ 인사가 적잖게 목격된다.
다행히 KB금융을 이끌어갈 임 회장 내정자는 이 같은 문제점을 인지하고 있는 듯하다. 틈날 때마다 “무조건 실력을 기준으로 인사를 할 것”이라고 강조하는 데서 ‘새판 짜기’의 의지를 읽을 수 있다.
이제 그에게는 자신의 발언이 관치금융 논란을 잠재우기 위한 미봉책이 아님을 입증하는 과제가 주어졌다.
다음달 12일 주총에서 임 회장 내정자의 선임이 확정된 뒤 본격화될 KB금융 인사에 주목하는 이유다. 공정한 인사는 이탈한 KB금융을 정상궤도로 복귀시키는 일일 뿐만 아니라, 한국 금융시장 선진화의 교두보 구축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박신영 금융부 기자 nyusos@hankyung.com
▶ 女배우들, 조폭 생일파티서 비키니 입고…
▶ 경리, 충격 성희롱 "너의 자궁에다 한바탕…"
▶ 박재범 방송사고, 여자들과 춤추다 바지를…
▶ 女가수, 남편 외도현장 급습 후…충격 고백
▶ 류시원, 이혼소송 도중 얼굴 상태가…깜짝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