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KB의 '학습효과' 사라질까

입력 2013-06-17 17:21   수정 2013-06-18 00:16

박신영 금융부 기자 nyusos@hankyung.com


“임영록 KB금융지주 회장 내정자의 최측근은 누구인가요?” “차기 국민은행장은 누가 될까요?” “행장이 결정되면 부행장들은 일괄 사표를 내야 하나요?”

요즘 국민은행을 비롯한 KB지주 계열사 임원들을 만날 때마다 듣는 얘기다. 여러 사람의 실명을 거명하며 꼬치꼬치 캐묻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들에겐 공통적으로 자신의 앞날에 대한 짙은 불안감을 읽을 수 있다. 누가 차기 행장이 될 것인지, 어떤 사람이 주요 보직의 부행장이 될 것인지를 알아야 자신의 거취를 위한 ‘사전 작업’을 할 수 있다고 판단, 정보수집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이다.

KB지주와 계열사 직원들의 이 같은 행태에 대한 금융권의 시선은 싸늘하다. 2001년 국민은행과 주택은행이 합병해 국내 최대 은행으로 재탄생하면서 금융권의 기대를 한 몸에 받았던 조직이 오히려 금융 발전의 걸림돌이 돼 버렸다는 일종의 배신감이다. 능력보다 정치력이 더 중요한 곳에 무슨 미래가 있겠느냐며 ‘돌직구’를 던지는 이들도 적지 않다.

KB 임직원도 할 말이 많을 것이다. 주인 없는 회사이다 보니 회장이 바뀔 때마다 권력 구도가 요동쳤고, 그 틈바구니에서 ‘정치 세력’이 득세하는 역사를 겪어 왔기 때문이다. 국민은행의 한 지점장은 “실력으로 보면 A가 올라가야 맞는데, 뚜껑을 열어보면 로비를 열심히 한 B가 발탁되는 경우가 다반사였다”며 “이런 분위기에서 누가 업무에만 매달릴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누적된 ‘학습효과’로 인해 인사철이 닥칠 때마다 연줄을 찾아 로비하는 풍토가 만연해 있다는 푸념이다. 실제로 지주 지도부가 교체될 때마다 한직과 핵심 보직을 오가는 ‘셔틀’ 인사가 적잖게 목격된다.

다행히 KB금융을 이끌어갈 임 회장 내정자는 이 같은 문제점을 인지하고 있는 듯하다. 틈날 때마다 “무조건 실력을 기준으로 인사를 할 것”이라고 강조하는 데서 ‘새판 짜기’의 의지를 읽을 수 있다.

이제 그에게는 자신의 발언이 관치금융 논란을 잠재우기 위한 미봉책이 아님을 입증하는 과제가 주어졌다.

다음달 12일 주총에서 임 회장 내정자의 선임이 확정된 뒤 본격화될 KB금융 인사에 주목하는 이유다. 공정한 인사는 이탈한 KB금융을 정상궤도로 복귀시키는 일일 뿐만 아니라, 한국 금융시장 선진화의 교두보 구축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박신영 금융부 기자 nyusos@hankyung.com




女배우들, 조폭 생일파티서 비키니 입고…
경리, 충격 성희롱 "너의 자궁에다 한바탕…"
박재범 방송사고, 여자들과 춤추다 바지를…
女가수, 남편 외도현장 급습 후…충격 고백
류시원, 이혼소송 도중 얼굴 상태가…깜짝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