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질환도 '시냅스 단백질' 로 원인 밝힌다"

입력 2013-06-18 17:23   수정 2013-06-19 03:41

과학기술 프런티어

ADHD·자폐증 유발 특정유전자 규명
기능 알려진 유전자 극소수…美·日 등도 경쟁적 연구




인간의 뇌 속에는 1000억개에 달하는 신경세포 ‘뉴런’이 있다. 각각의 뉴런은 다른 뉴런과 연결돼 신경 정보를 주고받는데, 연결 부위인 ‘시냅스’는 뉴런 하나당 1만여개에 이른다. 뇌 속에 있는 시냅스가 1000조개나 되는 것이다. 작은 뇌 속에 ‘우주’가 있는 셈이다.

김은준 기초과학연구원(IBS)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장은 “이 시냅스에 존재하는 단백질은 정신병을 치료할 수 있는 ‘열쇠’”라고 말했다. 시냅스에 어떤 단백질이 있는지 밝혀내고, 이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를 연구함으로써 정신질환의 원인을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은 이 분야 연구를 통해 유전자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자폐증 등 다양한 정신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밝혔다.

◆유전자 연구로 자폐증 원인 밝혀

이 분야 연구는 5~6년 전부터 본격적으로 떠오르기 시작한 새로운 분야다. 김 단장은 “기존에는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뇌졸중 등 신경과 영역에 해당하는 질병에 대한 연구 결과가 많았다”며 “자폐증 ADHD 정신분열 등 정신과 영역의 질환은 신경과 질환에 비해 상대적으로 원인이 불분명했다”고 말했다.

시냅스의 특정 단백질이 정신질환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속속 나오면서 전 세계적으로 뇌질환 연구자들이 뛰어들기 시작했다. 김 단장은 KAIST에서 석사과정을 마치고 미국 미시간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이 분야 연구가 막 시작되기 시작한 1995년 합류했다.

1997년 귀국한 뒤에는 부산대에서 3년, KAIST에서 13년, 총 16년간 교수로 재직하며 이 분야 연구를 지속해왔다. 선제적으로 뛰어들어 연구를 진행한 만큼 연구단이 이룬 성과는 국제적 수준이다. 2011년에는 ADHD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를 찾아내 이 유전자가 없는 생쥐를 만들어 실제로 유전자의 영향을 검증했다. 이 연구 성과는 ‘네이처 메디슨’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지난해에는 강봉균 서울대 교수, 이민구 연세대 교수 연구진과 함께 자폐증의 원인을 밝혀 ‘네이처 지네틱스’에 논문을 냈다. 특정 유전자가 호흡기·소화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던 이 교수가 김 단장에게 공동 연구를 제안했고, 전기생리학 분야에서 세계적 성과를 거두고 있는 강 교수 연구진의 도움을 빌려 낸 성과였다.

◆산업화 빠른 편

통상 기초연구가 응용 단계를 거치려면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이 분야 연구 결과는 인과관계의 고리가 하나씩 밝혀질 때마다 빠르게 산업화되고 있다. 김 단장은 “지난해 말 다국적 제약회사에서 자폐를 치료하기 위해 임상테스트하는 약물 리스트를 만들었는데 6개 중 4개가 시냅스 유전자 기능을 조절하는 내용이었다”며 “그동안 자폐증엔 약이 없어 환자는 물론이고 가족·담당의사까지 고생했다”고 말했다.

뇌과학 연구는 아직 밝혀진 것보다 앞으로 밝혀낼 것이 더 많다. 김 단장은 “시냅스 뇌과학 분야에서도 지금까지 알려진 시냅스 속 단백질 수는 1000여개지만 이 중 기능이 밝혀진 단백질은 30개도 안 된다”고 했다. 미국 일본 등 세계 각국에서도 뇌과학 연구에 경쟁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김 단장은 “전기생리학 동물행동분석 분자세포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 연구의 역량을 한데 모아야 하기 때문에 융합이 중요한 분야”라며 “변화와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는 연구자라면 도전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보영 기자 wing@hankyung.com


■시냅스
신경세포 뉴런 사이의 연결 부위를 가리킨다. 한 개의 뉴런은 수천개에서 1만여개에 이르는 다른 세포와 시냅스로 연결돼 있다. 이 연결 부위를 통해 신경 전달물질이 이동한다.






유부녀, 23세男과 불륜에 정신 뺏기더니 '경악'
'속옷 모델' 女의대생, 적나라하게 찍다 결국
양현석, 싸이로 떴다가 '300억' 날려…대반전
女배우들, 조폭 생일파티서 비키니 입고…
경리, 충격 성희롱 "너의 자궁에다 한바탕…"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