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산업은 사실상 운송률이 9%밖에 되지 않아 현실적으로 대중교통 수단의 보완재 역할을 하고 있을 뿐이다. 택시 대수는 민선 지자체가 출범한 이후 지속적으로 늘어 1995년 20만대에서 2011년 25만대로 5만대가 증가했다. 하지만 이용 승객은 95년 49억명에서 2011년 37억8000만명으로 되레 줄었다. 지하철이 신설되고 자가용이 늘었기 때문이다.
택시량 증가와 이용 인구 감소는 오늘날 택시 업계가 안고 있는 구조적 모순이다. 하지만 정부와 지자체는 이를 예측하기는커녕 오히려 개인택시의 면허 양도와 상속을 허용하는 등 택시의 구조조정을 곤란하게 하는 요인만 부추겨왔다.
지금 정부가 내놓는 정책은 세금을 들여 인위적으로 대수를 줄여 사업성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투입될 세금은 정책오류와 무능 행정에 대한 매몰비용으로 치부하는 모양이다. 택시법이 시행되면 지원 규모가 1조원에 달한다는 계산도 있다. 더구나 감차를 한 뒤 살아남은 택시업계와 기사들은 공급 감소로 초과 수익을 얻을 게 뻔하다. 결국 버티면 이익을 얻게 되는 그런 구조다. 그 이익이라는 것이야말로 택시 이용자들의 불편의 합계액이다. 더구나 대당 감차 비용을 어떻게 계산할 것인가.
결국 지난 대선 과정에서 되지도 않을 일을 약속한 정치권이 문제다. 정치 포퓰리즘의 대표적인 것이 바로 이런 정책들이다. 세금으로 보상하면 그만이라는 것인지. 그 세금은 누가 내나.
▶ 유부남, 女도우미 있는 술집 찾는 이유 '발칵'
▶ 돌싱 男, 결혼할 때 가장 궁금한건 "밤마다…"
▶ 딸 성관계 목격 · 데이트 성폭력…10대의 실태
▶ 유부녀, 23세男과 불륜에 정신 뺏기더니 '경악'
▶ 女배우들, 조폭 생일파티서 비키니 입고…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