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KT경제경영연구소의 '이동통신시장 선진화를 위한 정책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가입자 중 1년 이내에 약정을 해지하고 단말을 교체하는 사람은 연간 1500만명으로, 전체 가입자의 28.0%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연간 국내에서 판매되는 단말의 수는 2500만대 수준인데, 이 중 60%(1500만대)가 1년 이내에 단말을 교체하는 셈이다.
연구소는 메릴린치증권의 글로벌웰스매니지먼트(GWM)의 자료를 분석해 이 같은 추정치를 내놨다.
한국의 '1년내 휴대전화 교체율'은 한국과 휴대전화 보급 정도가 비슷한 일본의 9.2%보다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OECD 주요국가의 1년내 휴대전화 교체율은 미국 17.6%, 호주 16.6%, 스웨덴 14.5%, 캐나다 18.6%, 독일 23.4%, 영국 27.1% 등이었다.
이들 국가와 일본 등 비교 대상인 7개국의 평균은 18.1%로 한국보다 9.9%포인트 낮았다.
보고서는 이처럼 한국의 단말기 교체가 빠른 것은 이동통신 시장의 과도한 마케팅비가 단말기 가격 구조를 왜곡해서 불필요한 단말기 교체를 유도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화제] 급등주 자동 검색기 '정식 버전' 드디어 배포 시작
▶[한경 스타워즈] 대회 전체 수익 2억원에 달해.. 비결은?
▶ 유부남, 女도우미 있는 술집 찾는 이유 '발칵'
▶ 돌싱 男, 결혼할 때 가장 궁금한건 "밤마다…"
▶ 딸 성관계 목격 · 데이트 성폭력…10대의 실태
▶ 유부녀, 23세男과 불륜에 정신 뺏기더니 '경악'
▶ 女배우들, 조폭 생일파티서 비키니 입고…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