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국채금리 11%·스페인도 5% 넘어
ECB, 뾰족한 수 없어 … 세계경제 '빨간불'
![](http://www.hankyung.com/photo/201306/2013062527491_AA.7585247.1.jpg)
스페인의 10년 만기 국채금리는 24일(현지시간) 연 5.05%로 지난 5월3일 4.01%에서 1%포인트 넘게 급등했다. 이탈리아는 이날 연 4.914%를 기록, 5월 초 3.7%대에서 1.2%포인트나 올랐다. 그리스는 연합정부 분열설이 확산되면서 위험 수위인 연 10%를 넘어섰다.
![](http://www.hankyung.com/photo/201306/2013062527491_AA.7585246.1.jpg)
유럽의 국채금리 상승은 다른 국가들보다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빚이 많기 때문이다. ECB에 따르면 유럽 재정위기 국가인 PIIGS(포르투갈, 이탈리아, 아일랜드, 그리스, 스페인)의 2014년 말까지 만기 도래 채권 규모는 4000억유로가 넘는다. 이론상 국채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이자 부담이 40억유로(약 6조원) 늘어난다. 실물경제에 쓸 돈을 이자비용으로 내야 한다는 얘기다. 단기 악재도 겹쳤다.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미국은 이번 주말 990억달러 규모의 신규 국채 발행을 앞두고 있다. 한정된 국채시장의 돈이 미국 쪽으로 몰릴 가능성이 높다.
상황을 변화시킬 호재도 없다. 국채금리를 낮추려면 ECB가 시장에 영향을 줄 만한 재정·통화 정책을 써야 한다. 유로라는 기축통화를 쓰는 만큼 이론상 돈을 찍어낼 수는 있다. 하지만 ECB가 파격적인 정책을 내놓을 가능성은 낮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최근 기자와 만난 미할라 마르구센 소시에테제네랄 글로벌경제팀장과 재닛 헨리 HSBC 수석이코노미스트는 “ECB가 지난해 발표한 단기국채무제한매입(OMT) 정도의 양적완화 정책을 다시 내놓을 가능성은 없다고 봐도 좋다”고 말했다.
김득갑 삼성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투자자들의 심리와 미국 등 주변국의 상황을 고려할 때 국채금리는 한동안 오를 일밖에 없다”며 “스페인을 기준으로 10년 만기 국채금리가 연 6%를 넘어가면 세계 경제에 다시 한 번 빨간불이 켜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남윤선 기자 inklings@hankyung.com
▶ 불꺼진 시청사 주차장서 男女 알몸으로…후끈
▶ 女의원 "우리가 개XX냐" 국회서 폭탄 발언
▶ 배우 서지석, 결혼 2달만에 '글래머女'와…발칵
▶ '안마女' 따라 원룸 가보니, 옷 벗긴 후…경악
▶ 딸 성관계 목격 · 데이트 성폭력…10대의 실태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