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hankyung.com/photo/201306/2013063066011_AA.7600845.1.jpg)
지역별로 상반기 국채금리가 가장 많이 오른(국채 가격 하락) 지역은 북미였다. 미국과 캐나다가 각각 39%, 30% 올랐다. 30일 미국 중앙은행(Fed)에 따르면 Fed가 외국 중앙은행을 대신해 보관하고 있는 미 국채 잔액은 6월19~26일 한 주 동안 324억달러 감소해 2조9300억달러로 집계됐다. 이 같은 매도 규모는 2007년 8월 240억달러 이후 최대 규모다. 3주 연속 글로벌 중앙은행의 미 국채 매도가 지속됐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국가별 중앙은행의 매도 규모는 알 수 없지만 신흥국이 주로 매도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일반 투자자들도 채권 매도에 가세하고 있다. 펀드자금 분석업체인 EPFR글로벌에 따르면 이 기간 동안 글로벌 채권형펀드 잔액은 233억달러 감소했다. 특히 미 채권펀드에서 가장 많은 106억달러가 빠져 나갔다. 하이일드-정크본드 채권펀드도 68억달러 줄었다. 투자등급 회사채펀드, 미국 공채펀드, 모기지담보부증권(MBS)펀드 등에서도 일제히 환매가 이뤄졌다. 이들 채권펀드의 환매 규모는 EPFR글로벌이 데이터 분석을 시작한 1992년 이후 최대 규모다.
신흥국도 부진했다. 올 들어 브라질과 남아프리카공화국 국채금리가 각각 22%, 19%, 러시아가 9% 넘게 상승했다. FT에 따르면 6월19~26일 신흥국 채권펀드에서도 2004년 이후 가장 많은 56억달러가 빠져 나갔다. 최근 5주 동안 이머징마켓의 채권 및 주식펀드에서 유출된 자금은 350억달러에 이른다. 마크스 로스젠 씨티그룹 아시아주식 수석전략가는 “투자자들이 수건을 던지고 있는 양상”이라며 올여름에 시장을 더 끌어내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외환시장에서도 신흥국은 부진했다. 남아공 랜드화는 통화가치가 올 들어 18%나 떨어졌다. 인도 루피, 브라질 헤알, 터키 리라 등도 7~8% 하락했다. 엔화는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적극적인 엔저 전략 덕에 올 들어 가치가 14% 하락했다.
반면 올 들어 가치가 많이 오른 통화로는 호주 달러(11%), 보츠와나 풀라(9.3%), 영국 파운드(6.7%), 아이슬란드 크로나(4.8%), 이스라엘 셰켈(4.6%) 등이 꼽혔다.
워싱턴=장진모 특파원/남윤선 기자 jang@hankyung.com
▶ 男동생, 친누나와 한 침대서 잠자리 갖더니…
▶ 불꺼진 시청사 주차장서 男女 알몸으로…후끈
▶ 女승무원 남편, 내연女와 "셋이 살자"며…경악
▶ 목욕하는 女 은밀하게 훔쳐본다…우리 집은?
▶ '안마女' 따라 원룸 가보니, 옷 벗긴 후…충격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