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규모별로는 중소기업(28개사)이 28건·11억8000만원을, 중견기업(9개사)이 7건·2억3000만원을 각각 지원받는다. 중소·중견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한 대기업(5개사)에도 5건·6200만원이 지원된다.
지원금은 해당 사업의 타당성 조사(9건·7억9000만원)와 현지 수주 교섭 및 발주처 인사 초청(26건·6억8000만원) 등에 활용된다. 지역별(22개국)로는 아시아가 20건·7억8000만원으로 가장 많고, 아프리카(4건·2억2000만원) 중남미(4건·2억1000만원) 중동(5건·1억1000만원) 순이다.
국토부는 1, 2차 지원사업에서 남은 예산 등을 토대로 하반기에 3차 지원도 받을 예정이다. 국토부는 2003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564건의 사업에 대해 141억원의 시장개척자금을 지원해 56건·4조8000억원(45억달러)이 실제 수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김규철 국토부 해외건설지원과장은 “하반기 기업 간담회 등을 통해 중소·중견업체의 애로사항을 청취한 뒤 건설사의 해외진출 부담을 경감하는 방향으로 사업관리지침을 개정하겠다”고 말했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
▶[화제] 급등주 자동 검색기 '정식 버전' 드디어 배포 시작
▶[공지] 2013 제 3회 대한민국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평가 대상!!
▶[한경 스타워즈] 대회 전체 수익 2억원에 달해.. 비결은?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