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와 USGA는 지난달 21일 ‘앵커드 퍼팅’(Anchored putting·몸의 한 부분에 고정한 채 스트로크하는 것)을 금지하는 골프규칙 14-1b를 명문화해 2016년 1월1일부터 적용키로 했다. 미국 PGA의 결정에 따라 2016년 1월부터 PGA투어에서는 퍼터 그립을 가슴에 대는 브롬스틱 퍼터나 배꼽에 고정한 채 사용하는 벨리 퍼터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PGA투어는 그동안 롱퍼터 사용 선수들이 많은 챔피언스투어(시니어투어) 때문에 ‘롱퍼터 규제’에 소극적이었다. 메이저대회인 PGA챔피언십을 주관하는 미국프로골프협회(PGA of America)도 당초 규제 반대 입장을 철회하고 롱퍼터 사용 금지를 따르기로 했다. 이 협회에는 티칭프로 등 2만7000명의 남녀 프로들이 가입해 있다.
유럽프로골프투어는 이미 롱퍼터 사용을 금지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세계 프로골프투어에서 롱퍼터는 사실상 자취를 감출 전망이다.
롱퍼터는 2011년 PGA 챔피언십에서 키건 브래들리(미국)가 사용해 우승한 데 이어 지난해에는 어니 엘스(남아공)가 브리티시오픈, 웹 심슨(미국)이 US오픈에서 롱퍼터를 사용해 우승했다. 올해 마스터스 우승자 애덤 스콧(호주)도 롱퍼터를 썼다.
그러나 아직 일부 선수들이 소송을 낸 상황이어서 법적 논쟁은 계속 이어질 전망이다. 스콧, 카를 페테르센(스웨덴), 팀 클라크(남아프리카공화국) 등 9명 선수들은 현재 변호사를 고용해 소송 절차를 진행 중이다.
한은구 기자 tohan@hankyung.com
▶ 만 18세 김시우, PGA 정식 데뷔전
▶ 44세 듀크, 데뷔 19년만에 첫승
▶ 305야드 '파4홀 홀인원' 이번엔 나올까
▶ 이동환 데뷔 첫 톱3…마지막날 버디 9개 뒷심
▶ 최경주 공동 13위…6년만에 우승 '시동'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