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세상에 어지럽고 불안할수록 '히어로물'이 많이 나온다고 한다. 스크린관에서 몇 년 간 꾸준히 그리고 줄기차게 나왔던 각종 히어로물은 사람들의 기대와 관심을 한몸에 받으며 연일 흥행 대박을 기록했다.</p> <p>게임업계 역시 마찬가지다. 스마트폰 게임 시대가 갑자기 활짝 열리면서 10년 넘게 게임업계에 몸담았던 사람들도 '하루 앞도 내다볼 수가 없다'고 말할 정도로 불안정하다. 이런 어지러운 업계에 두 히어로가 등장했으니, 그건 바로 '
위메이드'와 '
CJ 넷마블'이다.</p> <p>■ 영화 '아이언맨'-강철인간 위메이드
| ![](http://www.gametoc.co.kr/news/photo/201307/10092_19446_3439.jpg) | |
▲ 아이언 맨 |
-빠르고 과감하게 스마트폰 '최첨단 슈트' 변신</p> <p>모바일 게임 업계의 아이언맨으로는 '위메이드'를 꼽을 수 있다. 1분기 매출 실적 595억원 중 모바일 게임 매출이 366억원으로 분기 매출의 약 62%를 차지하고 있는 위메이드에게 '모바일 게임'이란 핵심 매출원으로 '아크원자로(아이언맨 가슴 한가운데 있는 둥근 핵으로 주 에너지원)'이나 마찬가지다.</p> <p>2013년 7월 8일 구글플레이 기준으로 카카오톡에 총 16개라는 가장 많은 게임을 출시한 위메이드는 모바일 게임업체의 선두주자라 할 수 있다. 한 가지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윈드러너', '슈가팡' 등의 캐주얼 게임과 SNG장르인 '에브리타운', '바이킹 아일랜드', 전략 게임인 '실크로드', RPG 장르의 '터치파이터' 등 다양한 장르로 사랑받고 있다.</p> <p>영화 '아이언맨'에서 주인공 토니 스타크는 뛰어난 재능과 천재적인 두뇌로 세계 최고의 무기업체를 이끄는 CEO다. 그는 게릴라군에게 납치를 당하지만, 그들에게 굴복하지 않고 자신만의 최첨단 수트를 제작해 탈출에 성공한다. 그에게 수트는 새로운 인생의 터닝포인트였다.</p> <p>위메이드 또한 이와 비슷하다. 위메이드 역시 원래는 온라인 게임업체였다. 하지만 스마트폰 시대가 열리며 스마트폰 게임이라는 거대한 흐름을 겁내지 않고, 누구보다 빠르고 과감하게 뛰어들었기에 지금의 위메이드가 있을 수 있었던 것이다. 즉, 위메이드의 터닝포인트는 '스마트폰'이다.
| ![](http://www.gametoc.co.kr/news/photo/201307/10092_19447_3712.jpg) | |
▲ 신분당선 안 위메이드 광고 |
물론 토니 스타크의 엄청난 재산과 더불어 위메이드 특유의 밀어붙이기 전략도 눈여겨볼 수 있다. 신분당선 지하철 전체를 연간 계약으로 위메이드 게임으로 도배하고, 판교역 역시 위메이드 게임이 가득하다. 마치 영화 '아이언 맨3'에 나온 수십개의 아이언맨 수트를 연상케 한다.</p> <p>-6개월 장수게임 윈드러너, 이제 일본 시장까지 평정</p> <p>하지만 위메이드의 궁극기는 따로 있다. 바로 링크투모로우가 개발한 '윈드러너'이다. 출시 하루만에 국내 앱스토어 전체 무료 인기 1위에 오르고, 2일만에 구글플레이까지 장악한 윈드러너는 12일만에 1000만 다운로드 신화를 달성했다. 다른 게임들은 20여일이 넘어야 1000만 다운로드를 달성했다는 점에서 이례적인 일이다.
뿐만아니라 출시 후 2개월만에 일본 양대 앱 마켓에서 매출 2위에 오르고, 서비스를 개시한지 6개월이 지난 후에도 현재까지 매출 TOP5 안에 들어가는 장수 게임이기도 하다. 최근 시즌2로 돌아오며 하루에도 수많은 스마트폰 게임이 범람하는 격동의 시대에서 '런 게임'의 대부로 당당히 자리를 지키고 있는 것이다.</p> <p>또한 아이언맨에게도 한방에 끝내버리는 궁극기 말고도 적을 당황시키는 여러 가지 강한 기술이 있듯, 위메이드에게도 매번 유저들과 업계를 긴장시키는 여러 게임이 출시되었다. 첫 SNG 장르인 '바이킹 아일랜드'는 출시 4주만에 다운로드 100만을 돌파하고, 같은 장르인 '에브리타운' 역시 출시 2일만에 앱스토어 무료게임순위 1위에 등극했다.</p> <p>얼마 전 개봉했던 '아이언맨 3'에서는 마지막에 '토니 스타크는 돌아온다'라고 말해 사람들에게 '아이언맨 4'에 대한 기대와 설렘을 더했다. 위메이드 역시 '상반기는 그저 거들 뿐'. 2012년 지스타에서 선보였던 게임들과 더불어 '달을삼킨늑대', '히어로스퀘어'등의 하반기 라인업이 준비되어 있다.</p> <p>■ 영화 '헐크'-무시무시한 파워 폭풍성장 넷마블
| ![](http://www.gametoc.co.kr/news/photo/201307/10092_19445_3438.jpg) | |
▲ 인크레더블 헐크 |
-'다함께' 시리즈로 브랜드 부각 1사분기 548% 성장</p> <p>게임업계의 '헐크'는 CJ 넷마블이다. 2012년 모바일 게임 매출이 전체 91억원에 불과했던 넷마블은 2013년 1사분기 499억원을 기록하며 548%나 성장했다. 마치 헐크가 화가 나면 순식간에 고탄력 바지를 제외한 모든 옷을 찢어던지며 몸집이 커지듯 그야말로 '폭풍 성장'을 했다.</p> <p>7월 8일을 기준으로 '다함께' 시리즈를 포함해 총 11개의 게임이 출시되었고, 그 중 비 카카오톡 게임은 3개다. 8개의 카카오톡 게임 중에서 '모두의 마블', '마구마구2013', '다함께 삼국지', '다함께 퐁퐁퐁' 4개가 10위 안에 올라있고, 최근 '모두의 마블'은 1000만 다운로드를 달성해 넷마블의 위력을 새삼 느낄 수 있다.</p> <p>-탄탄한 게임 개발력 '다함께 차차차' 전세계 단일 게임 2위</p> <p>영화 속 '헐크'에서 볼 수 있는 가장 큰 특징은 그의 무지막지한 '힘'으로 수렴된다. CJ 넷마블의 경우 '다함께' 시리즈로 통일됨을 알 수 있다. '다함께 차차차', '다함께 퐁퐁퐁', '다함께 삼국지', '다함께 고고고', '다함께 쾅쾅쾅' 등 '다함께'라는 단어는 어느새 CJ 넷마블을 떠올릴 수 있는 브랜드가 되었다.</p> <p>CJ 넷마블의 모바일 전성시대를 열어준 게임 역시 '다함께' 시리즈의 시작인 '다함께 차차차'이다. 12월 31일 첫 선을 보이고, 17일만에 구글플레이 1000만 다운로드를 기록하며 국민게임 반열에 올랐다. 전 세계 구글플레이 월간매출 순위에서도 단일게임 2위를 기록하기도 했다.</p> <p>8일 기준 최고매출 6위를 기록하고 있는 5번째 다함께 시리즈인 '다함께 삼국지'는 출시 일주일만에 구글플레이 인기 무료 1위와 최고매출 5위에 오르며 비슷한 시기에 공개된 삼국지 게임들에게서 압도적인 성과를 거두었다.</p> <p>-스포츠 '마구마구'-동접 40만 '모두의 마블' 파워</p> <p>헐크가 처음에는 분노로 강한 힘을 얻어 싸웠지만, 후에는 자신의 '의지'로 싸워나가듯 넷마블의 대박은 기존의 탄탄한 게임 개발력을 바탕으로 더욱 견고해졌다. '마구마구 2013'은 국내 최고의 온라인 야구게임인 '마구마구'의 시스템을 기반으로 만든 야구게임으로, 카카오톡 모바일 게임 장르에서 불과 5%를 점유하고 있는 스포츠 게임이다.</p> <p>출시 3일만에 인기 무료 2위에 오르고, 출시 23일만인 5월 2일에는 최고매출 1위를 기록하는 등 무서운 기세로 상승했다. 기존 모바일 스포츠 게임에서는 유례없는 결과로 누적 다운로드 400만건을 넘기며 7월 8일 기준으로 최고매출 3위를 기록하고 있다.</p> <p>이에 더욱더 넷마블의 기세를 몰아붙인 것은 '모두의 마블'이다. 출시 당일 '카카오 게임하기' 1위에 오른 것을 시작으로 구글 플레이 인기무료, 신규 인기 무료, 최고매출 등 3개 부문에서 1위를 싹쓸이함과 동시에 앱스토어와 구글플레이도 1위를 기록했다.
| ![](http://www.gametoc.co.kr/news/photo/201307/10092_19448_3811.jpg) | |
|
여기에 동시 접속자수 40만명이라는 대기록과 함께 '다함께 차차차'에 이어 올해 두번째로 1000만 다운로드를 달성했다.</p> <p>7월 10일 기준 180개의 카카오톡 게임 중 1000만 다운로드를 달성한 게임은 '윈드러너', '쿠키런', '애니팡', '다함께 차차차', '드래곤 플라이트', '캔디팡', '모두의 게임'과 '모두의 마블'로 총 8개다. '모두의 마블'은 카카오톡 친구초대가 30명으로 제한된 이후 최단기간인 28일만에 세운 결과다. 그야말로 분노한 헐크같은 파워를 보여주고 있다.</p> <p>영화 '어벤져스'에서 대결을 앞두고 어떻게 싸울 것인지 계획을 묻자 '우리의 플랜은 헐크야'라고 대답한다. '모두의 마블'로 연일 대박을 치는 넷마블의 플랜은 '온라인과 모바일 IP를 기반으로 글로벌 사업 확대'라고 전한다. 일본 시장에 더해 인도네시아, 북미, 대만, 태국 등 4개국에 현지 법인을 설립한 바 있다. CJ 넷마블의 본격적 현지화 전략으로 글로벌한 헐크 넷마블을 기대해본다.</p> <p>한경닷컴 게임톡 황인선 기자 enutty415@gmail.com</p>
격랑 휩싸인 모바일게임 시장 '정답은 글로벌'
위메이드 야심작 '달을 삼킨 늑대' 대륙도 삼킨다!
'다함께 차차차' 새로운진화 시즌2 시작
국민게임 '모두의마블' 1000만 다운로드 금자탑!
국민 보드게임 '모두의마블' 모바일에서 전 부문 1등!
게임톡(http://www.gametoc.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