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hankyung.com/photo/201307/2013071106071_AA.7639905.1.jpg)
이런 기발한 상상력을 가졌던 그도 미처 생각하지 못한 일이 있었다. 바로 달나라 소유권 문제다. 실제로 데니스 호프라는 미국 남자가 1980년 샌프란시스코 법원에 달의 소유권을 청구해 승소한 뒤 달나라 대사관을 세우고 달 분양 사업을 벌였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그는 30여년간 193개국 570만명에게 토지 소유권 한 건당 24달러씩 6억에이커 이상의 ‘우주 땅’을 팔았다.
그보다 먼저 달의 소유권을 확보했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1996년 독일의 한 연금생활자가 “1756년 프리드리히 2세가 자신의 선조에게 달을 하사했으며 문중 소유로 상속해 왔다”며 미국에 자신의 법적 권리를 존중해달라고 요구했다.
미국이 아폴로 우주선의 달 착륙지를 ‘34번째 미국 국립공원’으로 지정하는 법안을 의회에 제출했다는 소식에 전 세계 네티즌이 들고 일어났다. 아폴로 11호(1969년)부터 17호(1972년)까지 미국 달 탐사팀이 남긴 흔적을 국립역사공원으로 지정하자는 것인데, 미국인들조차 “우리가 가보지도 못 하는 달에 세금을 들여 국립공원급 관리를 한다는 게 말이 되느냐”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오바마가 3년 전 예산을 아끼기 위해 우주탐사는 민간에 맡긴다고 발표했는데 최근 중국이 탐사에 열을 올리자 달의 상업·군사적 효용 때문에 이런 목소리가 나오는 것이다. 인도까지 덤비고 있으니 그럴 만도 하다. 더욱이 달 표면에 있는 헬륨-3는 차세대 핵융합발전 연료로 쓰일 특급자원이 아닌가.
달의 소유권을 특정 국가가 갖는 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유엔의 우주조약도 ‘국가의 영유·소유권’을 제한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민간기업들은 ‘무주공산’인 달 개발에 앞장서고 있다. 이미 영국 우주여행기업 엑스칼리버 알마즈는 달까지 왕복하는 첫 우주여행 상품을 2015년 선보인다고 발표했고, 스페이스X는 반값에 우주선 발사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며 손님을 끌고 있는 판이다. 앞으로는 달 사용권을 놓고 특정 국가나 기업들이 다툴지도 모르겠다.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
▶ 성동일, 출연료 얼마나 받길래…깜짝 고백
▶ 여친 가방 떨어뜨리자 '콘돔'이…발칵
▶ "장윤정 母, 돈줄 끊겨 같이 죽자며…" 깜짝 폭로
▶ "기성용, 늙은 여자랑…" 한혜진 막말 듣고는
▶ 술 먹여 '집단 성폭행' 국민가수 아들 결국…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