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hankyung.com/photo/201307/2013071627391_02.6931840.1.jpg)
교인들이 힘을 합쳐 담임목사의 교회 세습 시도를 막아낸 경기 성남시 ㄷ교회의 한 관계자는 16일 이렇게 말했다. 교인 1000여명의 이 교회가 분란에 휩싸인 건 지난 5월. 담임목사가 목사 안수를 받은 지 1주일밖에 되지 않은 아들에게 교회를 물려주겠다고 하면서다.
교회의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당회에서 격론이 벌어졌다. “목사님 뜻대로 하자”는 의견과 “복수 후보를 추천해 제대로 뽑자”는 의견이 팽팽히 맞섰다. 교인들도 갈라졌다. 이런 사실이 외부로 알려지면서 교회 안에서도 반대 여론이 확산됐다. 마침내 담임목사가 임기 중에는 더 이상 세습문제를 거론하지 않기로 해 세습은 사실상 무산됐다. 담임목사 영향력이 절대적인 국내 개신교회에선 보기 드문 사례다.
요즘 개신교계의 큰 이슈는 담임목사직 세습이다. 세습에 반대하는 개신교계 연합기구인 교회세습반대운동연대(세반연)는 지난 3월부터 세습에 관한 제보를 접수한 결과 61개 교회가 이미 세습을 끝냈고, 25개 교회는 세습을 추진 중이라는 의혹을 받고 있다고 최근 발표했다. 세습을 끝낸 교회의 60% 이상이 교인 1000명이 넘는 중·대형 교회들이다.
주목되는 것은 세습을 마친 교회의 절반 가까이는 전임목사가 개신교계의 대표적 연합기관인 한국기독교총연합회 대표회장이나 교단 총회장, 감리교 감독 출신이라는 점이다. 개신교계에서 영향력이 큰 목사들이 세습 확산을 부채질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교회세습방지법 등을 통해 세습을 제도적으로 봉쇄하자는 주장과 함께 목사·장로 임기제, 신임투표제 등의 개혁안을 실천하는 교회들도 늘고 있다.
세습에 대한 비판론이 비등한 것은 이것이 교회를 사유화하기 때문이다. 교회를 사유화하는 건 교회에 권력과 돈, 이를 향한 목회자의 욕심이 있어서다. 누구도 선뜻 맡지 않으려는 산간이나 도서 벽지의 작은 교회를 자녀들이 승계한다면 하등 문제 될 게 없다. 오히려 미담 사례가 될 수도 있다. 교회 세습과 아름다운 승계를 가르는 건 권력과 돈, 욕심이다.
서화동 문화부 기자 fireboy@hankyung.com
▶ 그루폰, 충격적인 '대국민 사기' 들통나자…
▶ 17세 女, 교복 찢으며 나체 사진 찍더니…
▶ 女직원, 회사에서 가슴파인 옷 입고 볼펜 줍자…
▶ 정선희, 남편과 사별 이후 어떻게 사나 봤더니
▶ 男 초등생, 방에서 남몰래 은밀한 행위…충격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