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자病' 서울대병원, 비상경영

입력 2013-07-17 17:27   수정 2013-07-18 01:47

"모든 비용 줄여라"
주차장·병원 신축 중단
올해 400억 적자 날 듯



서울대병원이 비상 경영에 들어갔다. 2011년 8억원이던 ‘적자’가 지난해 287억원으로 늘어난 데 이어 올해는 4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될 만큼 병원 운영 실적이 악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회사 전반의 경비 절감은 물론 지하 6층 규모의 주차장 확장 공사를 무기한 연기했고, 공사가 진행 중인 심장뇌혈관병원 건립도 완공 시기(내년 5월)를 늦추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오병희 서울대병원장(사진)은 최근 전 직원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부서별로 진행하고 있는 사업을 전면 재검토하고 줄일 수 있는 모든 비용을 줄이라”고 지시했다. 서울대병원은 오 원장의 지시에 따라 총무부 시설자재부 교육연구부 원무부 홍보부 등 부서별로 10% 경비 절감 계획 마련에 착수했다.

서울대병원이 비상 경영에 돌입한 것은 병원 운영 환경이 갈수록 나빠지고 있기 때문이다. 경기 불황으로 고가 의료 서비스 수요가 줄어든 가운데 정부는 건강보험 재정 부담을 줄이기 위해 각종 의료수가 인상을 억제하거나 단가를 낮추고 있다. 환자 수가 예전에 비해 줄었고 영상장비 의료수가 등이 떨어진 것이 병원 운영 실적에 영향을 미쳤다.

오 원장은 “정부에서 정하는 의료수가가 원가에 미치지 못하는 상황에서 적자을 줄이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기부금이라도 쉽게 받을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정부에 요청할 계획이다.

주차장 확장 공사를 사실상 취소하고 심장뇌혈관병원 건립을 미루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한 것에 대해 서울대병원 관계자는 “적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상황에서 병원 규모를 확대하는 것은 너무 큰 부담이라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흑자 경영을 해온 다른 대형병원들도 지난해 적자를 냈다. 삼성서울병원 연세의료원 가톨릭의료원 고려대의료원 한림대의료원 등이 지난해 순손실을 기록했다. 서울아산병원이 70억원가량 흑자를 냈지만 대형 상가 운영 등 비(非)의료 부문에서 수익이 생겼기 때문이다.

이준혁 기자 rainbow@hankyung.com



▶ 英 '공짜의료'의 불편한 진실…1만3000명 죽음으로 내몰다
▶ 서울 대형병원도 '적자 수렁'…국립대병원 손실 1000억 넘어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