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hankyung.com/photo/201307/2013071876951_01.7660858.1.jpg)
어떻게 똑똑한 실패를 촉진할 수 있을까? 창조적 기업들은 직원의 똑똑한 실패를 독려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전략을 활용한다.
첫째는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낮추는 것이다. 대부분의 직원은 실패 위험이 높은 과제는 시도조차 꺼린다. 실패로 인한 비난, 낮은 평가와 같은 불이익뿐 아니라 업무에 대한 자신감 하락 등 부정적인 심리를 야기하기 때문이다.
창조 기업은 실패 여부와 관계없이 직원이 새로운 시도를 마음껏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직원이 최선을 다했음에도 실패했을 경우 자신감 하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우수한 실패’에 대해 시상을 하기도 한다.
둘째, 실패 내용을 구체적으로 드러내도록 독려하는 전략이다. 직원은 부정적인 결과를 알고도 축소해 보고하거나 외부 환경 탓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런 실수나 실패를 숨기게 되면 비슷한 실패가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더 큰 실패로 연결될 수 있다.
실패를 인정하지 않고 더 많은 비용을 계속해서 투입하게 되는 ‘몰입상승’ 현상을 일으킨다. 모토로라가 위성전화기 개발 실패를 인정하지 않고 계속해서 투자하다 스마트폰 등 새로운 트렌드를 놓치게 된 것이 대표적인 몰입상승 현상이다.
셋째, 초기에 많이, 빨리 실패하는 전략이다. 창조적 기업들은 실패가 많으면 창의적인 산출물이 나올 가능성도 증가한다고 믿는다. 아이데오는 자사의 브레인스토밍 규칙에 ‘일단 아이디어의 양을 늘려라’란 말을 넣었다. 일부 기업은 프로토타이핑(시제품 만들기)을 권장한다. 프로토타이핑은 아이디어 단계에서부터 간단한 재료를 활용해 모형을 만드는 방법이다. 먼지봉투 없는 진공청소기를 개발한 제임스 다이슨은 5127번의 프로토타입을 만들었다. 실패 비용을 최소화하고 더 빠르게 창의적인 산출물을 내기 위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창조 기업들은 실패 경험을 자산으로 축적하고 활용한다. 창조 기업은 누가 실패했는가를 묻지 않는 대신 ‘왜 실패했는가’에 높은 관심을 갖는다. 실패의 원인을 개인의 이슈로 보지 않고 집단이나 조직 차원으로 끌어올려 구체적인 해결책을 추구한다.
![](http://www.hankyung.com/photo/201307/2013071876951_AA.7652880.1.jpg)
많은 기업들이 창조적 성과의 중요성을 강조하지만, 구체적인 지원은 소홀하다. 똑똑한 실패가 무엇인지 정의하고 직원과 공유하며, 효과적으로 실패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궁극적으로는 실패를 촉진하는 평가제도 마련이 필수적이다. 실패는 창조적 성과로 가는 과정이자 수단이다.
진현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hyun.chin@samsung.com>
▶ [BIZ Insight] 비씨카드 '진격의 30년'…글로벌 카드브랜드 '우뚝'
▶ 35년전 여친과 창고서 사업 시작…이윤보다 고객·지역사회 기여 중시…세계 최대 유기농 판매체인 일궈
▶ 중국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해법
▶ 日오다큐백화점의 실패로 본 벤치마킹의 성공요인
▶ '힐링' 열풍의 확산과 지속가능한 발전 방향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