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 자만 붙으면 주민센터로…업무 처리할 현장인력 태부족

입력 2013-07-19 17:11   수정 2013-07-19 22:27

국민경제자문회의 위원들 '복지 깔대기' 현장 점검



대통령 자문기구인 국민경제자문회의 위원들이 복지깔대기 현장 점검에 나섰다. 비효율적인 복지전달체계에 따른 행정력 낭비는 없는지, 맞춤형 복지서비스 구축을 가로막는 현장의 장애물은 무엇인지 확인하기 위해서다. 복지전달체계 개편과 맞춤형 복지시스템 구축은 박근혜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다.

복지 공무원들과 사회복지사들은 19일 자문위원들이 방문한 서울 상계1동 홍파양로원에서 현장의 애로사항을 쏟아냈다. 복지 예산과 관련 추진사업이 늘어났지만 제대로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채철 홍파양로원 사회복지사는 “33명의 노인들을 보살피는 직원은 9명에 불과해 인력이 크게 부족하다”며 “정부가 여러 정책을 펼치고 있다는데 현장의 열악한 상황은 크게 달라진 것이 없다”고 말했다.

양로원에 이어 방문한 상계1동주민센터의 복지 담당 공무원들은 복지깔대기 현상 때문에 중앙정부의 정책이 현장에서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훈정 주민생활지원팀장은 “복지의 ‘복’자만 붙으면 깔대기처럼 다 주민센터 업무로 넘어온다”며 “정책은 쏟아지지만 이를 수행할 현장 인력이 부족한 데다 정책의 세부 규정이 복잡하고 단일화된 지침이 없어 비효율을 낳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16개 중앙부처에서 추진하고 있는 복지사업은 보건복지부 128건, 보훈처 38건, 여성가족부 23건 등 총 292건에 달한다. 지방자치단체 사업 1만9000여건까지 합치면 복지담당 인력의 부담은 몇 배로 늘어난다. 문제는 비슷한 복지서비스를 여러 기관에서 중복해 추진할 경우 오히려 복지사각지대를 만들어낼 수도 있다는 점이다. 보여주기용 정책으로 양산된 온갖 업무가 지자체와 주민센터로 몰리면 한정된 복지인력이 이를 소화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이다. 현정택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은 “중앙정부가 늘린 복지사업이 현장 인력엔 업무 부담이 될 수 있을 것 같다”며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시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경제자문회의는 다음달 중 고용과 복지 연계에 성공한 우수사례 현장을 방문할 계획이다. 이달 22일엔 인천 남동공단을 찾아 대중소 상생과 공정경제 상황을 점검하고, 24일엔 중소기업연구원과 공동세미나를 열어 창조경제에 대해 논의한다.

고은이 기자 koko@hankung.com

■복지 깔대기 현상
정부의 복지사업과 예산은 늘어나고 있지만(깔대기처럼 위는 넓지만) 사회복지사 등 현장 담당인력이 뒷받침되지 않아 정작 수급자에겐 정책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는(아래는 좁은) 현상. 복지업무 중 약 70%가 지방자치단체(읍·면·동)에 깔대기처럼 몰려 있는 탓에 일선 복지 인력이 업무 과중으로 어려움을 겪으면서 복지 사각지대가 생겨나고 있다.




▶[화제] 급등주 자동 검색기 '정식 버전' 드디어 배포 시작
▶[결과발표] 2013 제 3회 대한민국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평가대상
▶[한경 스타워즈] 대회 전체 수익 2억원에 달해.. 비결은?




훤히 보이는 '호텔'…밤마다 낯 뜨거운 장면에
9년간 동거하다 다른 남자 아이 낳고는…
'성접대' 동영상 등장한 女 2명 행위가…경악
故 최진실이 타던 '벤츠 S600' 알고보니…
女가수, 개그맨에 성폭행 당해 결혼했다가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