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21일 '제약산업 육성·지원 5개년 종합계획'을 발표하고 제약기업에 대한 R&D 지원 규모를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5년간 신약 개발 20개, 글로벌 신약 4개 배출'이 목표다.
올해 정부의 R&D 지원 규모는 약 2500억원. 오는 2017년까지 올해의 2배인 5000억원 수준으로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바이오시밀러·줄기세포치료제 등 유망 분야에 대한 R&D 투자를 집중할 예정이다. 특히 해외 제약기업·대학·연구소 등과의 협력시스템 구축을 통한 개방형 연구개발(C&D)을 추진할 예정이다.
금융 환경 여건도 좋아진다.
정부는 국내제약사의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글로벌 제약산업 육성 펀드’를 연간 1000억원 규모로 조성, 운영할 계획이다.
제약사들의 수출을 지원하기 위해 국가별 맞춤형 전략도 구축키로 했다. 예를 들어 선진국 수출 제약사는 생산시설 선진화에 대한 금융지원과 세제지원을 확대하고, 신흥국 수출 업체는 현지 전문가 활용에 대한 지원 등을 강구하는 방식이다.
제약산업 전문인력 양성 방안도 제시됐다. 단기적으로는 해외 우수 인재를 유치한다. 장기적으론 대학 정규과정 개편·특성화 대학원 등 인프라 구축을 통해 핵심인재를 키우겠다는 복안이다. 임상시험, 의약품 인허가 업무 등 전문인력 자격제도 도입도 검토 대상이다.
한경닷컴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 훤히 보이는 '호텔'…밤마다 낯 뜨거운 장면에
▶ 9년간 동거하다 다른 남자 아이 낳고는…
▶ '성접대' 동영상 등장한 女 2명 행위가…경악
▶ 故 최진실이 타던 '벤츠 S600' 알고보니…
▶ 女가수, 개그맨에 성폭행 당해 결혼했다가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