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해명 자료에서 “아들을 지방의 대안학교에 보내고 싶었으나 아내가 반대하고 아들도 친구들이 Y고로 원서 냈다고 해 아내와 아이의 선택을 막지 못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공인인 저에게는 마음껏 돌을 던지되, 저의 가족들에게는 돌을 던지지 말아 달라”라고 제목까지 뽑아서 썼다. 틈만 나면 평준화 교육을 주장했던 것과는 정반대의 선택이다. 장황한 변명에는 일말의 연민까지 느껴진다. 가족을 내세운 것도 비판 여론을 무마하려는 비열한 꼼수로 비쳐진다.
교육의원 아들이라고 해서 자사고 진학을 못할 이유는 없다. 문제는 시 교육의원직을 맡고 있는 그의 이중적 행태다. ‘평소 주장이 다르고, 내 자식은 예외’인 이중의 선택 때문이다. 이들은 교조적인 교육 평등주의에 젖어 획일적이고 하향 평준화된 인간을 만들어 내려고 갖은 선동을 다하고 있다.
김 의원은 법원판결에 따라 교직에 복직했으면서도 교육의원직은 계속 수행해 최근 지방교육자치법상 겸직금지를 위반했다는 논란을 일으킨 당사자이기도 하다. 이 논란에서 역시 구구한 변명뿐이니 매사 본인 편리한 대로 해석하고 그렇게 행동하겠다는 건지도 모르겠다. 특목고 제도 등 수월성 교육을 부인했던 곽노현 전 서울교육감도 정작 본인 아들은 외고로 보내 비판을 받았었다. 그런 위선자들이 현장 교육을 망치고 있다. 우리 사회에는 유독 이런 위선자들이 많다. 영어 교육을 맹비난하는 사람들의 자식 중에 유독 조기유학생이 많은 것도 그렇고 내로라하는 반미 인사들 중에 유독 미국 대학에 유학하고 있는 자녀가 많은 것도 그런 현상의 하나다. 실로 위선자들이 설쳐대는 나라다.
▶ 회장님, 女방송인과 비밀 여행가더니…발칵
▶ 훤히 보이는 '호텔'…밤마다 낯 뜨거운 장면에
▶ 이종수, 女아나에 "왼쪽 가슴에서…" 폭탄 발언
▶ 담임교사, 女고생과 성관계 후 낙태까지…충격
▶ 내연女와 낳은 아이 데려오더니…이럴 수가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