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수요로 모바일 D램, 낸드플래시 등의 판매가 급증한 데다 PC D램 값이 공급 부족으로 폭등한 덕분이다. 모바일 수요는 계속 늘어날 전망이어서 반도체가 ‘달러 박스’로 다시 부상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SK하이닉스는 2분기에 매출 3조9330억원, 영업이익 1조1140억원을 기록했다고 25일 발표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매출은 49%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200배 이상(작년 2분기 50억원) 늘었다. 영업이익률은 28%에 달했다.
이 같은 실적은 증권시장 추정치(매출 3조6300억원, 영업이익 9750억원)를 웃돈다.
회사 측은 D램 출하량이 스마트폰 보급 확대, 데이터센터 수요 등으로 전 분기보다 20% 늘었으며, PC D램 가격이 폭등해 D램 평균 판매가도 16% 올랐다고 설명했다. 낸드플래시도 모바일 수요 덕분에 출하량이 전 분기 대비 29% 늘었으며, 평균 판매가는 5% 올랐다.
호조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지난해 일본 엘피다 파산으로 세계 메모리 업체가 3~4개만 남아 시장이 공급자 중심으로 바뀌었는데 모바일 수요는 늘고 있어서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
▶ 박한별, '세븐 안마방 사건'에도 혼자서…깜짝
▶ 한고은 "클럽에서 한 남자가 날…" 충격 고백
▶ 유퉁, 33세 연하女와 7번째 결혼 앞두고 '눈물'
▶ 회장님, 女방송인과 비밀 여행가더니…발칵
▶ 훤히 보이는 '호텔'…밤마다 낯 뜨거운 장면에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