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붐 세대의 희망과 좌절

입력 2013-07-26 17:12   수정 2013-07-27 03:31

보사연'근로생애사 연구'
고도성장기 취업률 높았지만 외환위기 후 근속확률 20~40%




“시작은 화려했지만 종말은 비참했다.”

신동균 경희대 경제학과 교수는 베이비붐 세대(1958~1963년생)의 근로 생애를 이렇게 평가했다. 신 교수는 보건사회연구원이 발행하는 월간지 최근호에 실린 ‘베이비붐 세대의 근로생애사 연구’라는 논문에서 “베이비붐 세대가 노동시장에 진입한 1980년대 후반은 고도성장으로 일자리가 급증했기 때문에 취업 측면에서는 행운아라고 부를 수 있지만 외환위기 이후 직급 정년 등의 도입으로 장기 근속 확률(주직장 생존율)이 급속히 떨어지는 과정에서 가장 큰 희생양이 됐다”고 진단했다. 신 교수는 1만여명을 대상으로 2년에 한 번씩 조사하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를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내놨다.

논문에 따르면 베이비붐 세대의 출발은 좋았다. 우선 교육 혜택을 입었다. 1945년생부터 1957년생까지 4년제 대학 졸업자 비율은 10~15% 수준이었지만 1958년생부터 1960년생은 20~23% 수준으로 올라갔다.

이처럼 노동시장에 대졸 인력 공급이 늘어나면 취업이 어려워지는 게 정상이다. 하지만 급속한 경제성장은 이 문제를 해결해줬다.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됐고, 교육받은 베이비붐 세대를 찾는 기업은 많았다. 이전 세대가 취업할 때 4%대였던 실업률은 1958년생이 직장 근무를 시작할 때는 3% 초반대로 내려앉았다. 1960년생이 본격적으로 취업을 시작한 1986년 실업률은 3.1%였다.

그러나 1997년 외환위기가 이들의 근로생애 후반부를 비극으로 바꿔 놓았다는 게 신 교수의 분석이다. 그는 일생에서 가장 중요한 일터인 주직장에서 45세까지 근무한 확률을 계산했다. 남성을 기준으로 하면 1930년생부터 1950년생까지는 70~80% 수준이었다. 하지만 이후 급속히 하락세를 보여 1955년생부터 1957년생까지는 40%대로 내려앉았다. 베이비붐 세대의 맏형 격인 1958년생의 확률은 40%였다. 급기야 1959년생은 30%대 초반, 1960년생은 20%대 초반으로 추락했다.

신 교수는 “외환위기라는 외부적 충격으로 베이비붐 세대는 그 이전 어느 세대보다 노동시장에서 조기에 퇴출됐다”고 말했다.

김용준 기자 junyk@hankyung.com




▶[화제] 급등주 자동 검색기 '정식 버전' 드디어 배포 시작
▶[결과발표] 2013 제 3회 대한민국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평가대상
▶[한경 스타워즈] 대회 전체 수익 2억원에 달해.. 비결은?




박한별, '세븐 안마방 사건'에도 혼자서…깜짝
현미 "15세 연하 男, 나를 보듬어…" 화끈하게
시장후보, 20대女와 채팅서 나체 사진을 '발칵'
한고은 "클럽에서 한 남자가 날…" 충격 고백
유퉁, 33세 연하女와 7번째 결혼 앞두고 '눈물'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