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hankyung.com/photo/201307/2013073012581_AA.7698534.1.jpg)
손 원장은 한국의 에너지 시장을 ‘뼈’(설비)는 튼튼한 반면 ‘혈액순환’(수급)은 취약한 상태라고 진단했다. 그는 “한국은 에너지 설비가 잘 구축된 나라”라며 “하지만 인프라가 제대로 굴러가기 위해서는 에너지 가격 기능이 제대로 작동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에너지 가격을 정하다 보니 에너지 수요에 왜곡이 생긴다는 얘기다.
이런 이유로 손 원장은 이른바 ‘민영화’로 인식되는 에너지시장의 경쟁 도입이 최근 악화하는 전력난을 해소할 수 있는 한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선진국 에너지 시장은 치열한 경쟁으로 새로운 기술이 빠르게 도입되는 등 변화무쌍하게 성장하고 있다”며 “시장 경쟁을 도입하면 무분별한 전기 수요도 줄어들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에너지 업계에서 가장 큰 현안인 경남 밀양 초고압(765㎸) 송전탑 문제에 대해서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정부가 꾸준히 설득해야 한다”고 말을 아끼면서도 “전력산업이 지속하기 위해서는 분산형 전원 등의 해법을 조속히 모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분산형 전원은 지금처럼 전력 수요지(수도권)에서 발전시설(지방)을 멀리 짓는 것이 아니라 가까이 지어 송·배전 설비 투자 등을 줄이는 것을 말한다. 그는 “전기를 생산하는 지역에 전기 다소비 기업 입주를 이끌어내는 등의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
▶ 이효리, 결혼 겨우 두 달 앞두고…'왜 이럴까'
▶ 성재기, '1억' 때문에 자살한 줄 알았더니…
▶ 女직원, 술만 마시면 男 상사에 '아슬아슬'하게
▶ '박지성 연봉' 공개…여친 김민지가 부럽네
▶ 박한별, '세븐 안마방 사건'에도 혼자서…깜짝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