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매량을 우리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없습니다. 회사 내부 방침상 공개를 못하도록 돼 있습니다." (수입트럭회사 관계자)
![](http://www.hankyung.com/photo/201308/201308016724g_01.7705205.1.jpg)
사실 유럽 메이커 상용차 업체들이 판매실적을 공개하지 않기로 한 것은 2년 전 공정거래위원회가 가격 담합 여부를 놓고 조사에 들어간 시점과 정확히 맞물린다.
당시 수입트럭업체 직원은 판매실적을 달라는 요구에 앞으로는 판매실적을 외부에 누출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힌 적 있다.
지난달 31일 볼보트럭에서 근무하는 중견간부 역시 같은 대답이었다. 그는 "정확한 판매 정보는 나도 모른다. 우리도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최근 공정위 조사로 과징금 169억원을 부과받은 터라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해서인지 그는 말을 아끼는 모습이었다.
지난달 29일 공정위는 현대차, 타타대우, 볼보, 스카니아 등 국산 및 수입 7개 업체의 가격 담합 여부를 적발해 과징금 1160억원을 부과했다.
이들 업체들이 지난 10년간 경쟁사 임원끼리 수차례 비밀 만남을 가지면서 내부 영업 정보를 공유하며 가격을 꾸준히 올려왔다는 것. 이에 가격 담합 행위를 적발한 것이다.
공정위 카르텔조사국 관계자는 "집계된 판매실적을 외부에 공개하지 못하도록 공정위가 관여한 부분은 없다"면서 "다만 직원들끼리 수시로 만나면서 가격이나 판매량 등 영업 비밀을 공유하지 못하도록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2개월 내 이번 조사에 대한 최종 의결서가 나오면 그때 구체적인 내용을 분석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판매 실적을 언론에 공개를 못하겠다는 것은 쉽게 납득하기 어렵다. 현재 국내 완성차와 수입차 회사들은 매월 차종별 판매대수를 외부에 알리고 있다. 대형트럭만 굳이 못 알리겠다고 하는 것도 뭔가 의혹을 증폭시키고 있는 것.
![](http://www.hankyung.com/photo/201308/201308016724g_01.7705155.1.jpg)
현대차 상용사업부 관계자는 "경쟁사끼리 판매 데이터를 공유하지 않고 있는 것은 공정위 건과 관련 있을 것"이라며 "우리도 수입트럭사의 판매량은 추정치만 알고 있을뿐 공정위 조사 이후 정확히 판매실적을 모르고 있다"고 말했다.
대형 상용차 시장은 수입트럭 5개사와 현대트럭, 타타대우 등 국산 2개 등 총 7개 회사가 경쟁하고 있다. 카고, 덤프, 트랙터 등 8t 이상 화물차를 팔고 있다.
수입 대형트럭이 사업을 펼치는 20t 이상 덤프 및 트랙터 시장은 연간 5000~6000대, 8t 카고까지 포함하면 연간 판매량은 1만대 안팎이다. 대형트럭의 판매 단가가 대당 1억원을 호가하는 것을 감안하면 시장 규모는 1조원대가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
수입트럭의 양강구도를 구축한 볼보와 스카니아는 한국에서만 이미 누적 고객이 1만명을 넘어섰다. 적지 않은 숫자다. 수년간 판매 1위를 달리고 있는 볼보트럭은 작년 한해 1220여대를 판매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랙터나 덤프 같은 대형트럭은 화물.운송업계 종사자들이 구입한다. 화물차주의 알권리를 위해서라도 언론을 통한 메이커별 실적 공개는 필요하다. "일반인이 관심도 없는데 판매량 공개가 필요없지 않느냐"는 상용차업계 종사자의 말이 왠지 씁쓸하다.
한경닷컴 김정훈 기자 lennon@hankyung.com
▶ 이효리, 결혼 겨우 두 달 앞두고…'왜 이럴까'
▶ 성재기, '1억' 때문에 자살한 줄 알았더니…
▶ 장윤정 "목욕탕서 나체 상태로…" 충격 고백
▶ 이효리 "결혼식은 없던 걸로…" 이게 무슨 일?
▶ '박지성 연봉' 공개…여친 김민지가 부럽네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