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플라스틱은 엔지니어링플라스틱(EP) 생산 전문 기업으로 자동차 부품용 EP의 매출 비중은 지난해 기준 60%다.
이상헌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등 선진국들의 자동차 연비 규제 강화 정책의 윤곽이 드러나면서 전 세계 완성차 업체들의 차량 경량화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금속을 대체하는 경량화 소재로 EP가 각광받을 것"이라며 "폴리아미드(PA), 폴리옥시메틸렌(POM) 등 5대 EP 소재를 생산하는 코오롱플라스틱도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했다.
실적 개선 기대감이 높다는 점도 코오롱플라스틱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더하는 요인이다.
이 연구원은 "주력 제품인 POM의 판매량이 지난 5월부터 회복세를 보이고 가동률도 정상화돼 올 2분기 영업이익은 전 분기 대비 흑자 전환할 것"이라며 "올 하반기부터 실적 턴어라운드가 가시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경닷컴 이하나 기자 lhn@hankyung.com
▶[화제] 급등주 자동 검색기 '정식 버전' 드디어 배포 시작
▶막노동 인생10년, 돈벼락맞은 강씨 화제
▶[스토리텔링 수학 지도사 민간자격증 수여 !]
▶ 한혜진 사주 보니 "웬만한 남자로는 감당이…"
▶ 이효리, 결혼 겨우 두 달 앞두고…'왜 이럴까'
▶ 장윤정 "목욕탕서 나체 상태로…" 충격 고백
▶ 성재기, '1억' 때문에 자살한 줄 알았더니…
▶ 연봉 6천 직장인, 연말정산 따져보니…'충격'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