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들은 “송도 LNG 기지 주변에는 쓰레기 소각장과 LPG 저장탱크 등 위험시설이 몰려 있어 주민의 불안은 상당한 수준”이라며 “매립에 따른 신도시건설로 LNG 기지와 송도국제도시 간 거리가 18km에서 2km로 줄어들면서 시설이 주민에게 미치는 위험성은 배가됐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2007년 이 기지에서 가스 누출사고가 발생한 이후 재발 방지 대책이 마련되지 않은 점도 불안 가중 요소로 언급했다.
이어 “도시 지형과 주민 의식의 변화 등을 고려해 송도 LNG 기지 시설의 규모를 축소하고 위험 시설을 집중 배치하는 정책을 재고해야 한다”며 “가스 공급 시설을 다른 수요 지역에도 건립해 위험 요소를 분산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회원들은 증설 계획을 백지화하지 않으면 반대 투쟁에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국가스공사는 2017년까지 송도 LNG 기지에 20만t급 탱크 3기와 시간당 120t의 LNG를 처리하는 설비 6기를 추가로 설치할 계획이다. 오는 9일 송도컨벤시아에서 증설 사업에 대한 주민 설명회를 열 예정이다.
문병호 국회의원(인천 부평구갑)도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인천시와 주민의반대에도 가스공사가 증설을 강행하는 것을 묵과할 수는 없는 일”이라며 “가스공사는 증설 계획을 당장 취소하고 기존 시설의 안전 관리에 전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강조했다.
인천=김인완 기자 iykim@hankyung.com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