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조합원 찬반투표는 하나마나였다. ‘파업을 하면 더 얻는다’는 인식이 뿌리깊이 박힌 상황에서 결과는 뻔했다. 1987년 설립 이후 단 4년을 제외하고 23년을 내리 파업에 나섰다는 점이 이를 웅변한다. 상황이 여기까지 이른 데는 물론 회사가 법과 원칙을 지키지 못했다는 점도 지적돼야 할 것이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정치권의 부당한 개입이었다. 1998년 노무현 전 대통령이 현대차 노사쟁의 현장에 직접 뛰어들었던 바로 그 순간부터 노사 차원의 협상은 물건너갔었다는 분석들이다.
노조원 개개인도 그렇다. 나의 한 표가 설마 무슨 일을 만들어 내겠는가 하는 도덕적 해이가 만연해 있고 노조 내 투쟁그룹들도 헤게모니 다툼 과정에서 경쟁적으로 과격 투쟁에 말려가는 형국인 것이다. 노조가 무리한 요구를 계속한다면 공장을 해외로 옮기는 외에는 다른 방도가 있을 수 없다. GM과 디트로이트시의 경우를 보고서도 노조는 악습을 끊지 못하고 있다. 회사의 결연한 대응이 필요하다.
女직원 반라 사진으로 면접? 무슨 직업이길래
산부인과 男 의사, 임신 20주 女에게…경악
20대 女, 비키니 차림으로 해변에서…'날벼락'
밤마다 같이 자고 스킨십 즐기던 남매 결국…
차승원 아들 '성폭행' 고소女, 알고보니…충격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