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산업은 금호아시아나 그룹 핵심 계열사다. 하지만 건설경기 불황의 여파로 올초 워크아웃에 들어간 뒤에도 감자를 통해 근근이 자본잠식률을 낮추는 등 어려움이 계속돼 왔다. 이런 금호산업의 상장폐지는 그룹의 경영안정과 그룹 정체성에도 적지 않은 부담이 될 수밖에 없던 상황이었다. 그동안 금호산업의 구조조정이 미뤄져왔던 것은 출자전환과 그룹 내 지분매각 과정에서 순환출자 고리가 형성된다는 사실 때문이었다. 그러나 구조조정 기업에 대해서는 순환출자규제를 배제하자는 채권단의 결심이 나왔고 그 결과 지난주 새로운 돌파구가 열리게 된 것이다.
사실 순환출자규제는 한국에만 존재하는 특이한 반기업적 규제다. 어느 나라에서도 비슷한 규제가 없거니와 당연히 국가별로 다양한 자본구조가 허용되고 있다. 더욱이 경제민주화를 명분으로 순환출자규제에 대한 논란이 크게 불거졌고 금호산업의 경우처럼 기업구조조정에 새로운 걸림돌이 나타나게 됐던 것이다. 바로 이 문제를 채권단이 극복했다는 점에서 이번 결정은 아주 성숙한 구조조정 사례라고 평가할 만하다.
그동안의 구조조정은 기업은 팔려가고 기업가는 버려지는 파괴적 과정이라는 측면도 없지 않았다. 지금 상장사 중 150여 곳이 3분기 중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에 들어갈 것이라고 한다. 이번 금호 방식을 다른 구조조정 기업에도 적용해봄직하다.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구조조정 과정에서 30대 재벌의 절반 이상이 사라졌다. 그 결과가 바로 산업계의 극심한 양극화요 기업하려는 의지의 소멸이었다.
女직원 반라 사진으로 면접? 무슨 직업이길래
산부인과 男 의사, 임신 20주 女에게…경악
20대 女, 비키니 차림으로 해변에서…'날벼락'
밤마다 같이 자고 스킨십 즐기던 남매 결국…
차승원 아들 '성폭행' 고소女, 알고보니…충격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