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원인은 영리병원 설립을 가로막는 규제에 있다. 김대중 정부 때부터 영리병원 도입을 골자로 한 의료산업 선진화를 외쳐왔지만 10년 넘게 제자리걸음이다. 경제특구와 제주도에서만이라도 영리병원을 해 보자는 대안 역시 아무런 진전이 없다. 송도경제특구의 영리병원 부지는 잡초만 무성하고, 제주도도 깜깜무소식이다. 영리병원이 도입되면 건강보험 체계가 바로 붕괴될 것이라는 시민단체들의 선동에 국회, 지자체, 심지어 보건복지부조차 단 한발짝도 움직이지 않고 있는 탓이다.
획일화된 의료정책과 수가에 기반한 지금의 건강보험 체계야말로 의료산업 선진화를 가로막는 주범이다. 오죽하면 의사들조차 이 체계에 함몰돼 영리병원 도입을 반대하는 지경이 됐다. 의료산업의 사회주의화가 만연했다는 증거다.
그러나 바깥 세상은 국내와는 전혀 딴판이다. 기본적 건강을 지키는 일(비영리)과는 별도로 고급의료 수요는 민간(영리)에 맡기는 게 세계적 흐름이다. 미국 일본뿐만 아니라 복지국가인 스웨덴이나 프랑스는 물론 심지어 중국조차 영리법인을 허용하고 있다.
아시아에서 영리병원 설립에 가장 적극적이었던 태국은 한 해 유치하는 의료관광객만 우리의 13배가 넘는 156만명에 달할 정도다. 각국이 의료산업을 유망 수출산업이자 미래 성장엔진으로 키우기 위해 경쟁적으로 나서는데 오직 한국만이 이 대열에서 낙오하고 있다.
▶[화제] 종목 자동 검색기 PC/모바일버전 배포 시작
강용석, 이혼 소송 중인 '유부녀' 만나더니…
女직원 반라 사진으로 면접? 무슨 직업이길래
서장훈 이혼이유, 결벽증 때문인줄 알았더니
밤마다 같이 자고 스킨십 즐기던 남매 결국…
산부인과 男 의사, 임신 20주 女에게…경악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