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은 지난 4월 말 기준 지급기일이 된 연금저축상품 33만건(적립금 4조7000억원) 가운데 연금 지급이 시작되지 않은 미수령 계좌가 44.8%인 14만8000건에 이른다고 21일 발표했다.
연금저축상품은 1994년부터 2000년까지 판매된 구 개인연금(개인연금저축)과 2001년부터 판매된 신 개인연금(연금저축)으로 나뉜다. 이 중 구 개인연금은 가입 당시 언제 어떻게 돈을 받겠다고 미리 정해놓는 방식이었다. 이미 판매가 중단된 지 13년이 지난 만큼 진작에 연금을 받아갔어야 하는 이가 많다. 그러나 가입 후 오랜 시간이 지나 연락이 끊기는 등의 이유(94%)로 돈을 찾아가지 않은 연금 계좌가 상당수다. 구 개인연금의 미수령계좌에 쌓인 적립금(총 연금액)은 4641억원인데, 이 중 사전에 정한 지급시기가 지난 연금(미수령연금액)이 1537억원이나 된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
▶[화제] 급등주 자동 검색기 '정식 버전' 드디어 배포 시작
女직원, 퇴근 후에…은밀한 이중생활 깜짝
크레용팝 '빠빠빠', 日 가더니 이럴 줄은…
강용석, 이혼 소송 중인 '유부녀' 만나더니
조향기, 남편과 자다가 '무방비' 상태로…
밤마다 같이 자고 스킨십 즐기던 남매 결국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